41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은진-
dc.date.accessioned2018-02-08T07:59:08Z-
dc.date.available2018-02-08T07:59:08Z-
dc.date.issued2011-11-
dc.identifier.citation우리말교육현장연구,Vol.5 No.2 [2011],95-123(29쪽)en_US
dc.identifier.issn1976-3204-
dc.identifier.uri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339538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632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유아의 어휘 능력과 관련된 검사 및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여, 유아의 어휘 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어휘 발달 지표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어휘력 검사 도구의 개발을 위해서는 기존 검사 도구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개선점을 파악하여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바람직한 검사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특히 검사 도구가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아의 어휘 습득 단계 및 어휘 사용 실태를 바탕으로 한 표준화된 어휘 발달 지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어휘의 질적 능력과 양적 능력을 골고루 측정할 수 있는 발달 지표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적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령별 대표성을 띠는 어휘를 선정하여야 한다. 양적 능력은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화를 통해 어휘의 양을 측정하므로, 기존의 표준화된 검사 도구의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질적 능력 검사를 보완할 수 있다.|||| 체계화된 어휘 발달 지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언어학자들의 연구 및 실태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발달 지표를 토대로 문항이나 검사 방법을 개발할 때에는 현장 교사들과 연구자들의 상호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우리말교육현장학회. / The Association of Field Studies in Korea Language Education.en_US
dc.subject유아en_US
dc.subject어휘력en_US
dc.subject검사 도구en_US
dc.subject어휘 발달 지표en_US
dc.subject언어 습득en_US
dc.subjectpreschoolersen_US
dc.subjectlexical competenceen_US
dc.subjecttest toolen_US
dc.subjectvocabulary development indicatoren_US
dc.subjectlanguage acquisitionen_US
dc.title유아의 어휘력 검사를 위한 발달 지표 연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st of Preschoolers’ Lexical Competence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2-
dc.relation.volume5-
dc.relation.page95-123-
dc.relation.journal우리말교육현장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전은진-
dc.contributor.googleauthorJeon, Eun-jin-
dc.relation.code2012232590-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identifier.pideunjin151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