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찬승-
dc.date.accessioned2018-02-08T07:26:49Z-
dc.date.available2018-02-08T07:26:49Z-
dc.date.issued2011-05-
dc.identifier.citation지방사와 지방문화 /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2011-05 14:151-201en_US
dc.identifier.issn1229-9286-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1644645-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6298-
dc.description.abstract강진의 민족운동과 관련해서는 청년운동, 학생운동, 신간회운동 등을 들 수 있다. 강진의 청년운동은 1920년대 초 부르주아적인 계몽운동의 성격을 띠고 시작되었지만 비교적 부진했다. 그런 가운데 1927년 고군면(병영) 쪽에서 사회주의적 청년운동이 시작되었다. 또 1927년에는 다른 군들과 마찬가지로 강진군에서도 강진청년동맹이 조직되었다. 하지만 각 면 단위에 설립되는 지부는 겨우 세곳에 그쳤다. 강진의 학생운동으로는 1930년 광주학생운동에 영향을 받아 일어난 대구면 공립보통학교 학생들의 맹휴를 들 수 있다. 이 맹휴는 대구면 수동리의 윤가현과 강원태가 보통학교 학생들을 부추겨서 일어난 것이었다. 강진의 신간회는 1927년 가을 설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고군면(병영) 쪽에서는 1928년 3월 따로 병영지회를 설립할 움직임을 보였다. 하지만 이는 좌절되었고, 결국 강진지회에 통합되었다. 통합된 강진지회에는 그동안 사회운동을 해 온 이들과 민족운동을 해온 이들(특히 천도교 간부)들이 포함되었다. 강진의 사회운동으로는 노동운동, 농민운동, 그리고 전남사회운동협의회 사건 등을 들 수 있다. 강진의 본격적인 노동운동 단체로는 1927년 11월 병영의 사회주의 청년들이 조직한 자유노동조합을 그 효시로 들 수 있다. 하지만 병영의 자유노동조합은 1931년 병영의 격문사건으로 인하여 병영의 사회운동가들이 체포되면서 사실상 막을 내렸다. 강진의 농민운동은 1920년대에는 극히 미약했다. 소작인조합이나 농민조합은 거의 만들어지지 못했다. 1930년대에 들어와 군동면에서 군동농민회의 주도로 소작쟁의가 일어났는데, 이는 군동면 사회운동가들의 지도에 의한 것이었다. 전남운동협의회는 완도ㆍ해남을 중심으로 강진ㆍ영암ㆍ장홍의 사회주의청년들이 서로 연결을 갖고, 각 군에 적색농민조합을 설치하고 이를 지도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1933년에 만든 비밀결사였다. 당시 강진에서는 대구면의 윤가현이 완도 고금면의 이기홍과 연결되어 이에 참여하였고, 군동면의 사회운동가들은 윤가현과 연결되어 이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1934년에 조직이 드러나 모두 체포되었다. 강진의 사회운동은 인근의 완도ㆍ해남ㆍ영암의 사회운동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그것은 강진의 청년들이 기독교나 천도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 사회운동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적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특히 강진면 청년들은 사회운동에 소극적이었고, 그나마 고군면(병영)과 군동면, 그리고 대구면 청년들이 사회운동에 보다 적극적이었다.We can mention youth movement, student strike and Shinganhoe movement as the national movement in Gangjin-gun during 1920ㆍ30s’. The youth movement in Gangjin started by nationalists as an enlightenment movement. However it was not so active, because of the indifference of young people in Gangjin-myun, the center of Gangjin-gun. Meanwhile young socialists appeared in Byungyoungmyun, and they started new youth movement in 1927. And the alliance of youth in Gangjin was organized in December, 1927. However only 3 branches was formed in 4 myuns among 9 myuns. The student strike was caused by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Daegu-myun under the influence of Gwangju students’ uprising in 1929. And the Gangjin branch of ‘Shinganhoe’ was organized in 1927. Socialists and nationalists including the members of Chundogyo joined in the branch. As the social movement in Gangjin, we can mention labour movement, peasant movement, and the incident of the association of Chunnam socialist movement. The first organization of labour movement in Gangjin-gun was ‘the free labour union’ organized in Byungyoung. However the leaders of union were involved in the incident of anti-imperialism poster in 1931, and they were arrested by Japanese police. The union was actually dissolved because of this incident. The peasant movement in Gangjin was very weak during 1920s’. There was not a tenant union or a peasant union in 1920s’. However tenants of Gundong-myun caused a farm tenancy dispute in 1931. The tenants demanded land owners to reduce the farm rents. This dispute was leaded by the young socialists of Gundong-myun. The association of Chunnam socialist movement was organized in 1933 by the young socialists in Wando, Haenam, Gangjin, Youngam, and Jangheung-gun. It was a secret organization to guide the peasant movement under the socialist orientation. The young socialists in Daegu-myun and Gundong-myun joined this organization in secret. However they were arrested by police in 1934.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역사문화학회 / Korean Society For Local History And Cultureen_US
dc.subject강진군en_US
dc.subject민족운동en_US
dc.subject사회운동en_US
dc.subject신간회en_US
dc.subject노동운동en_US
dc.subject농민운동en_US
dc.subject청년운동en_US
dc.subjectGangjinen_US
dc.subjectnational movementen_US
dc.subjectsocial movementen_US
dc.subjectnationalisten_US
dc.subjectsocialisten_US
dc.subjectByungyoung-myunen_US
dc.subjectShinganhoeen_US
dc.subjectyouth movementen_US
dc.subjectlabour movementen_US
dc.subjectpeasant movementen_US
dc.title1920ㆍ30년대 강진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en_US
dc.title.alternativeNational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in 1920ㆍ30s’ Gangjin-gu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
dc.relation.volume14-
dc.relation.page151-201-
dc.relation.journal지방사와지방문화-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찬승-
dc.relation.code2012214990-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HISTORY-
dc.identifier.pidpcshistory-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HISTORY(사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