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4 0

미국의 친환경건물에 의한 실내디자인 현황 및 특성 연구

Title
미국의 친환경건물에 의한 실내디자인 현황 및 특성 연구
Other Titles
The Character Research on of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Design by America`s Green Building
Author
남경숙
Keywords
미국의 친환경 건물 인증제도; 미국의 그린빌딩 협의회; 미국 친환경 건물; 그린빌딩 등급 평가 제도; 친환경 실내디자인; 예술; LEED; 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USGB; U.S. Green Building Council; U.S. Green Building;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Environmental Friendly Interior Design
Issue Date
2011-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1-06 17,pp.145-159
Abstract
세계적으로 온실효과와 같은 환경오염이 심각한 수준으로 대두되면서,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을 디자인하는 일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 되었다. 따라서 온실가스의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도록 친환경 건축물을 친환경 건축 인증기준과 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영국의 BREEAM, 일본의 CASBEE, 미국의 LEED와 같이 많은 선진국들이 그들만의 법률을 제정하여 과도한 온실가스 배출을 규제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건축물 평가기준에서 친환경 실내에 대한 평가 항목이 체계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우수한 친환경인증 건물을 사례로 들어 친환경 실내공간의 디자인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을 면밀히 검토하여 친환경 실내에 대한 평가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 후 미국 미주리 주에 소재하고 LEED 친환경인증기준 상을 수상한 6개의 건축물을 직접 답사하고 인터뷰를 통하여 사례들이 어떠한 친환경 실내 디자인 전략을 사용하여 성공적 결과를 얻었는지를 평가항목별, 건물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친환경인증을 받은 건축에서 보여지는 실내디자인의현황과 특성은 디자인의 혁신적인 기술과 LEED 인증자 참여에 관한 부분에서는 가장 높은 점수대를 형성하였다. 다음은 수자원의 효율성, 실내환경의 질, 에너지와 대기, 재료와 자원 순으로 나타나 재료와 자원부분에서 가장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친환경 실내공간을 올바르게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하며 l이에 본 연구가 효과적인 친환경 실내공간을 위한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problem has gotten worse and worse, it has been unavoidable situation to regulate energy consumption of all buildings in the world. In order to reduc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and rating system are required mandatorily. Lots of developed countries have already established their own regulations which could prohibit for the buildings to producing excessive amou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 instance, England has taken BREEAM, Japan has taken CASBEE and U.S. has taken LEED. Despite these efforts, lots of criteria about interior environment design were inefficient to satisfy user`s need and environmental friendly interior desig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standards of LEED certification and find out which aspects should be added and revised.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visit 6 buildings, which are located in Missouri and received a prize of USGB and analyze their LEED certification criteria. Field study and interview was done to examine how research subjects could obtain successful result with environmental friendly design strategy. As a result, study showed that current green buildings are built in the point of view about innovation and water energy efficiency much more than environmental friendly interior design, sustainable sites, energy & atmosphere, materials & resources, and innovation & design process. Therefore, it is expected for us to establish more detail criteria about evironmental-friendly indoor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more study and research about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design should be implemented from now on.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criteria of environmental-friendly interior design.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542394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60356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