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5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중진-
dc.date.accessioned2018-02-08T01:56:07Z-
dc.date.available2018-02-08T01:56:07Z-
dc.date.issued2011-08-
dc.identifier.citation국어학 / Journal of Korea Linguistics. 2011-08 61:239-264en_US
dc.identifier.issn1225-1933-
dc.identifier.urihttp://www.dbpia.co.kr/Article/NODE01763749-
dc.description.abstract‘미꾸라지’가 19세기말의 ‘밋구라지’로 소급한다. 이것은 ‘밋구리’에 지소접미사 ‘-아지’가 결합된 것이다. 그러나 근대국어시기 이전에는 지소접미사 ‘-아지’가 통합한 고어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문헌자료상으로 보면 개화기국어 시기에 와서야 어류 명칭 ‘추어’에 대한 ‘-아지’ 파생어가 생긴 것이다. ‘미꾸라지’의 최고(最古) 어형은 16세기의 ‘?구·리’이다. 15세기 문헌자료에서부터 확인되는 ‘?그럽-(滑)’은 어근 ‘?글-’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이 통합한 것인데 이 ‘?글-’에 명사 파생 접미사 ‘-이’가 통합한 것이 16세기의 ‘?구ㆍ리’이다. 어의뿐만 아니라 성조 또한 ‘?글-’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서 ‘??, ??’은 각각 ‘?, ?’의 중첩형이다. 기원적으로 ‘*?ㄱ>*?ㄱ’에 파생접미사 ‘-?/을-’이 통합하면서 어간 ‘?글-’이 생겼다. ‘미꾸라지’의 어원은 [[[*?ㄱ/*?ㄱ(滑)+-을-]V+-이]N+-아지]N의 내적 구조에서 파생된 어휘이다. 재구적인 관점에서 보면 어중 ‘-ㅺ-’ 류 어휘가 하나 더 추가된 셈이다. 한편 ‘미꾸라지’의 방언형들은 다양한 어형으로 분포한다. ‘미꾸라지’의 방언형 중에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미끌’ 계와 오직 〈전남〉 지역에만 분포하는 ‘우글’계 및 북한 지역에만 분포하는 ‘징글’ 계가 분화되어 나타난다. 또 ‘미꾸라지’의 방언형 중에 〈강원〉[강릉], 〈함남〉, 〈함북〉 지역에 분포하는 ‘용’ 계 및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방언형도 있다.The oldest Korean writing of ‘Mikkuraji’ was ‘?구ㆍ리《訓蒙字會》’ in the 16th century. It may be helpful to consider some important factors of the related words of ‘Mikkuraji’ and ‘?그럽-(滑, be slippery)’ in order to analyze [[?글-]stem+-업-]A’ in great detail. Consequential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what has been discussed, I could conclude that as a result, ‘Mikkuraji’ had derived from the internal structure of [[[*?ㄱ/*?ㄱ(slippery)+-을-]stem+-이]N+-아지]N etymologically. On the one hand, from ancient Korean to morden Korean, ‘Mikkuri’ had appeared only. From mordenization in Korea, ‘Mikkuraji’ that was combined with ‘-아지’(diminutive) has appeared. According to the dialect forms, the ‘Mikkuraji[loach]’ was specialized from ‘미끌(slippery)-’ type or ‘우글(swarm)-’ type, or ‘징글(crawly)-’ type, ‘용(dragon)-’ type and so forth in detail.en_US
dc.language.isootheren_US
dc.publisher국어학회 / The Society of Korean Linguisticsen_US
dc.subject형태사en_US
dc.subject방언형en_US
dc.subject재구en_US
dc.subject고어형en_US
dc.subject내적 구조en_US
dc.subject지소사en_US
dc.subject음변화en_US
dc.subjectetymologyen_US
dc.subjectdialect formen_US
dc.subjectreconstructionen_US
dc.subjectarchaic worden_US
dc.subjectinternal structureen_US
dc.subjectdiminutiveen_US
dc.subjectsound changeen_US
dc.title‘미꾸라지[鰍魚]’의 형태사와 방언분포en_US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ialect-Forms and the Etymology of the 'Mikkuraji[loach]'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61-
dc.relation.page239-264-
dc.relation.journal國語學(국어학)-
dc.contributor.googleauthor신중진-
dc.contributor.googleauthorShin, Jung-Jin-
dc.relation.code2012214936-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dc.identifier.pidlanguetopia-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