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0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itle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업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Learning-Related Variables
Author
조한익
Keywords
메타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 학습; 학업; academic achievement; group counseling; meta-analysis
Issue Date
2011-07
Publisher
한국청소년학회 /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Citation
청소년학연구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1-07 18:163-18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습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의 방법에 의해 종합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메타분석을 위해 2000년부터 2011년까지 발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중 학습관련 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있는 연구물을 수집하였다. 그 중 136편의 논문을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고, 이들로부터 302개의 효과크기를 구했다. 이 효과크기의 값은 집단구성원들의 특성(학교급, 학업수준, 자발성 여부)과 운영특성(종속변인의 내용, 성별, 참가인원 수, 진행기간, 회기수, 회기단위시간, 진행구조)들을 기준으로 상세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에서 학습관련변인의 효과크기는 0.68(U3=75.17%)로 나타났다. 집단프로그램의 구성 및 운영요소에 따라 그 하위범주별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피험자 특성에서 학교급은 초등학교 고학년(0.74)의 경우, 학업수준은 학습부진(0.85)의 경우, 지정 후 자발적 참가(1.04)를 유도한 경우에 효과크기가 컸다. 운영특성에서는 혼성(0.62)집단보다 단성집단(남: 1.19, 여: 1,16)의 효과크기가 컸으며, 인원은 10명 이내(1.25)와 11명-20명(0.86), 진행기간은 2주 이내(0.92)와 6주 이내(0.81)가 모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회기수는 16회-20회(0.98), 11회-15회(0.86) 사이의 경우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회기 단위시간은 61-90분(0.98)이거나 40분 이하(0.80)인 경우 효과크기가 큰 편이었다. 프로그램의 유형별로 볼 때 자기조절학습프로그램(1.08)과 현실요법 프로그램(0.85) 및 행동적 요인의 프로그램(0.73)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on learning-related variables and to suggest effective constituen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this analysis, among the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during 11 years from 2000 to 2011, 206 of dissertations, examining the efficacy of group counseling program on learning-related variables, were collected and finally 136 studies, applying only pre-post between group design,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302 of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verage effect size was produced by conversion formula of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After calculating the average effect size, they were explained by applying Cohen`s(1997) method. Also turned out were Q and Χ2-values for homogeneity tests proposed by Hedges and Olkin(1985). Effect siz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on learning-related variable were calculated separately by applied domains, variable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subject types, and program types. Result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68, which corresponds to U3 coefficient of 75.17%.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such that students ar the 50 percentile in the group counseling performed as good as those at about 75 percentile in the comparison group.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61751http://hdl.handle.net/20.500.11754/35807
ISSN
1229-698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