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 0

공동저작물과 저작재산권의 행사 - 대법원 2014. 12.11. 선고 2012도16066 판결(친정엄마 사건)의 평석을 중심으로 -

Title
공동저작물과 저작재산권의 행사 - 대법원 2014. 12.11. 선고 2012도16066 판결(친정엄마 사건)의 평석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Joint Works and Exercise of Copyright Economic Rights - Focusing on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2Do16066 Decided December 11, 2014. -
Author
김병일
Keywords
공동 작업; 공동저작자; 공동저작물; 공동의사; 저작권의 행사; collaborative creation; joint authorship; joint works; joint intention; exercise of copyright rights
Issue Date
2016-03
Publisher
한국저작권위원회
Citation
계간 저작권, v. 29, NO 1, Page. 5-26
Abstract
최근 책, 시나리오, 대본 등을 다수의 자가 참여하여 집필하는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각자의 창작적 기여에 대해서 개별적 이용가능성이 있는 결합저작물과 개별적 이용가능성이 없는 공동저작물의 구별기준, 저작권의 공유 및 공동저작자의 저작재산권의 행사 법리가 조명을 받고 있다. 대상 판결은 창작적인 표현형식 자체에 공동의 기여를 한 경우에 저작인정이 되며, 공동저작물의 적용요건인 ‘공동창작의 의사’란 ‘분리이용이 불가능한 하나의 저작물 창작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여 다른 저작자와 함께 하나의 저작물을 완성하겠다는 의사’임을 천명한 것은 상당한 의의가 있다.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공동저작자의 인정 여부, 저작물의 공동저작자가 되기 위한 요건 중 ‘공동창작의 의사’와 공동저작자의 제48조 위반행위와 저작재산권 침해 여부이다. 본고는 대상 판결의 공동저작자의 제48조 위반행위와 저작재산권 침해 여부 판단을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향후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collaborative creation is often a fruitful and productive way for author to work. Copyright recognize this kind of creation through the notion of joint authorship. Joint ownership of copyright results either from transfer of partial ownership or from joint works created through the combined efforts of more than one person in which the contribution of each person may not be separately exploited, section 2(21) of Copyright Act. Reflecting the combined efforts by authors, the Copyright Act provides special rules for joint works. Their rights can be exercised only with the unanimous consent of all the joint owners and each co-owner may not transfer or pledge his/her share without consent of the rest, Secs. 15 and 48.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2Do16066 Decided December 11, 2014 and examine the concept of joint authorship and to suggest the legal interpretation for ‘joint intention’ requirement and exercise of copyright rights.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5778114#http://hdl.handle.net/20.500.11754/34281
ISSN
1226-0967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LAW[S](법학전문대학원) > Hanyang University Law School(법학전문대학원)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