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2 0

연행로 중 遼陽 ∼ 瀋陽 구간의 노정과 풍물 - 지리 감각의 갱신과 신흥 왕조의 체험 -

Title
연행로 중 遼陽 ∼ 瀋陽 구간의 노정과 풍물 - 지리 감각의 갱신과 신흥 왕조의 체험 -
Other Titles
Journey, Scenes and Customs from Liaoyang to Shenyang in Route of Diplomatic Envoy to Beijing - Renewal of Geographic Sense and Experience of New Dynasty -
Author
이승수
Keywords
遼陽; 遼野; 渾河; 阿里江; 瀋陽; Liaoyang; Liao Plain; Hunhe; Ariha; Shenyang
Issue Date
2016-03
Publisher
한국고전문학회
Citation
고전문학연구, NO 50, Page. 261-296
Abstract
이 글은 조선시대 頭官站에서 瀋陽에 이르는 2박 3일 燕行의 노정을 재구하고, 여행이 가져온 사신들의 지적 충격과 관념의 파동을 검토한 결과이다. 노정의 경우, 연행록에 기록된 지명이 대부분 그대로 쓰이고 있고, 구간 거리와 주변 정황에 대한 서술이 상세하여, 대부분 큰 어려움 없이 복원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小石門嶺과 그 전후의 옛길을 새로 밝혀내는 성과를 거두었다. 조선 사신들의 지적 충격, 또는 관념의 파동에 대해서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첫째, 遼野의 충격이다. 사방에 한 점 걸림 없는 광막한 벌판은 국토의 대부분이 산으로 이루어진 조선에서 살아온 사신들의 감각에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그 결과 나타난 것은 세계의 확대이다. 둘째, 遼陽을 중심으로 역사 변동에 따른 행로의 분기와 경험의 차이를 기술하였다. 17세기 초까지 요양은 처음으로 명나라의 문물을 체험하면서 휴식과 교류를 하는 장소였다면, 명청 교체 이후에는 역사 변동의 물리적 확인 장소였다. 셋째, 요양과 심양 사이에서 일어난 관념의 파동은 眼界의 확대・역사 인식의 전환・새로운 천체관의 탄생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넷째, 17세기 이후 조선 사람들이 사용한 渾河의 명칭과 그 내력을 검토하였다. 17세기 중반 이후 조선 사신들은 혼하를 阿利河 또는 耶里河 등으로 불렀다. 이는 중국의 문헌에서는 전혀 나오지 않는 명칭으로, 오랜 세월 현지 조선인들에 의해 불려졌던, 혼하의 또 다른 고유 명칭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paper reproduced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for 2 nights and 3 days from Dugwancham to Shenyang during Joseon period and investigated the intellectual impact and concept of envoys on the diplomatic route to Beijing. Most place names recorded in travel diaries of envoys are not changed at present and the length of route and circumstances are described in details. So most details were reproduced without significant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production on the route, Soseokmunryeong and the old routes around it were newly found. The intellectual impact or disturbance of concept of envoys of Joseon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or discussion. The first discussion is about the impact from the Liao Plain. The immerse field without any obstacles in all directions was enough to shock the sense of envoys who had lived in Joseon where most areas had mountains. The result of such impact was the expansion of the world. Next, it was discussed the divergence of route and difference of experience depending on the historic change around Liaoyang. While Liaoyang was the place for taking a rest and communicating as experiencing the civilization of Ming dynasty for the first time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it became the place where the historic change was physically experienced after the change of dynasty from Ming to Qing in China. The disturbance of concept occurred in the route from Liaoyang and Shenyang was explained into 3 categories; expansion of vision; conversion of historic awareness; and new concept on the universe. Furthermore, the name and history of Hunhe used by Joseon people since the 17th century were investigated. Joseon envoys called Hunhe as Ariha or Yeliha. Ariha or Yeliha is not found in literatures in China. So Ariha or Yeliha may be another indigenous names of Hunhe which were called by Joseon people in that region for a long time.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490086http://hdl.handle.net/20.500.11754/34188
ISSN
1225-144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