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3 0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의 가정 호스피스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Title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의 가정 호스피스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Author
구숙미
Advisor(s)
황선영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의 가정 호스피스 및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1400병상 규모의 2차 종합병원의 가정간호 사업팀에 등록된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 1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도구를 작성한 후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1월25일부터 2월28일까지이며, 연구 도구로 가정 호스피스 인식은 호스피스 인식과 가정 호스피스 인식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가정 호스피스 인식은 김민정(2004)이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고, 호스피스 인식은 김정희(1990)가 개발하고 최경아(2011)가 수정 보완한 호스피스 인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좋은 죽음 인식 도구는 Schwartz 등(2003)이 개발하고 정현숙(2010)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e test, Pearson 상관관계, Enter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은 총점 평균 92점 만점에 68.84±7.32점이었고, 총 문항 당 평균 평점은 2.99±0.31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은 총점 평균 68점 만점에 51.96 ±5.85점이었고, 총 문항 당 평균 평점은 3.06±0.34점으로 나타났다. 하부요인으로 친밀감은 3.09±0.39점이며, 통제감은 3.03±0.49점이며, 임상증상은 3.00±0.39점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가정 호스피스의 필요성은 ‘필요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80.7%이었으며, 그 이유는 익숙한 환경과 정서적 안정이 47.7%로 가장 많았고,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한 사람은 19.3%(26명)으로 이유는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을 것 같아서’가 34.6%(9명)로 가장 많았다. 4. 대상자의 호스피스 인식과 좋은 죽음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0.247, p=.004).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과 좋은 죽음의 차이를 보면 최종학력(F=3.38, p=.020). 환자의 만성질환개수(t=2.49, p=.014), 가정 호스피스 필요성 유무(t=2.70, p=.008), 가정 호스피스 받는 것에 대한 유익성(t=4.60, p<.001)이 호스피스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고, 환자연령(F=2.93, p=.038)과 치료비 부담(F=3.29, p=.040)은 좋은 죽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좋은 죽음은 호스피스 인식 (β=0.21, p=.017)과 본인의 치료비 부담(β=.19, p=.049)이 유의하며 설명력은 11.1%이었다(Adj R²=.111, F=2.390, p<.05).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의 좋은 죽음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호스피스 인식과 치료비 부담으로 호스피스 인식이 증가할수록 치료비 부담이 적을수록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예측요인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간호 환자 주 돌봄 가족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은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이 높고 치료비 부담이 적은 경우에 좋은 죽음에 대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고, 돌봄 가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최근 가정 호스피스 시범사업 시행과 호스피스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호스피스에 대한 국민과 의료진의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주요어:가족 돌봄 제공자, 가정 호스피스, 좋은 죽음;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grasp the family hospice and the perception of Well dying by the family care-gi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150 care-givers of the family member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family nursing project team of the 1400 - bed second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anuary 25, 2017 to February 28, 20 17. As a research tool, home hospice Perception was divided into hospice Perception and home hospice Perception. Home hospice Perception was developed by Kim Min-jung (2004)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Hospice Perception was developed by Kim, Jeong-hee (1990) Hospice Perception tool modified by Choi Kyung-ah (2011) was used. Well dying awareness tools were developed by Schwartz et al. (2003) and modified by Jung Hyun Sook (2010).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ost-test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Enter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20.0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1. The cognition of subjects about hospice is that the average score of 92 out of the total score is 68.84 ± 7.32. The average score per total item was 2.99 ± 0.31 (scale range: 1-4). 2.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Well dying was 51.96 ± 5.85 points out of the total score of 68, and the mean score was 3.06 ± 0.34 points per total item. The intimacy was 3.09 ± 0.39, the control was 3.03 ± 0.49, and the clinical symptoms were 3.00 ± 0.39. 3. 80.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ed 'home care hospice' because they had the most familiar environment and emotional stability(47.7%), and 19.3% ), Because 34.6% (9 people) said that they could not receive appropriate medical service. 4.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hospice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Well dying. 5.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spice perception and the good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as follows: the final academic ability (F =3.38, p=.020)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ore than two chronic diseases (t=.49, p=.01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Patient age (F =2.93, p=.038) and treatment burden (F=3.29, p=.04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ll dying. 6.. Hospice perception (β=0.21, p=.017) and my own burden of treatment (β=.19, p=.049) were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1.1%.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ospic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ospice and the higher the cost of treatment, the less the burden of the patient 's treatment cost, the less the effect on the Well dying. In conclusion, perception on home Care hospice and well dying among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is positive for well dying when the awareness of hospice is high and the burden of treatment is low, It was found that education about hospice was necessary for caring families. Recently, the implementation of the home care hospice pilot project and the increasing demand for hosp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and program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public and medical staff about hospice. Key words:family care-givers, home care hospice, Well-dying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8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1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IN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정보대학원) >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