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7 0

욕실 경계공간에 나타난 모호성 표현의 관한 연구

Title
욕실 경계공간에 나타난 모호성 표현의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Ambiguity in Bathroom Boundary Space
Author
남종현
Alternative Author(s)
Nam, Jong Hyeon
Advisor(s)
박경진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정체성과 경계가 사라져가고 있다. 주거공간에서는 급격한 사회 구조변화와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변화로 어느 때보다도 복합적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대 주거공간의 추세는 소가구에 따른 다운사이징 현상이며 한정된 공간에서 개인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해서는 복잡하고 다원적인 공간 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른 경계의 인식 변화에서 드러난 경계의 모호성을 스스로 생성하는 새로운 공간 변화를 위한 대안의 하나로 보고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주거공간에서 큰 변화를 보이는 곳이 욕실로 힐링이 강조된 프리미엄 공간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다의적 공간의 역할을 강조되고 있다. 최근 욕실 시장은 건식마감 선호도 현상을 보이며 인테리어 공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국내 욕실브랜드도 B2B 영업 중심에서 B2C 시장을 확대 계획 중이며 최근 물이 닿지 않는 부분에 카펫 등이 마른 마감재에 대한 제품을 선보이는 것도 이러한 성향을 반영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 욕실브랜드에서 제시하는 욕실 공간을 통하여 공간의 속성과 그에 따른 모호한 경계 영역에 대한 표현 특성을 분석하여 현실적인 욕실 공간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문헌연구는 Robert Charles Venturi의 모호성 개념과 선행연구를 통해 진행되었고 사례연구는 조사대상 욕실 속성의 일반적 특성과 국내외 욕실브랜드 제안 욕실 총 12종을 선별하여 국외 브랜드 6종 국내 브랜드 6종 분류하였고 이에는 각 3개 브랜드의 2종씩을 나누어 사례 분석을 하였다. 국외 욕실브랜드로는 American Standard, Antonio lupi, duravit로 선정하여 공간 컨셉으로 계획된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욕실브랜드로는 대림바스, 한샘바스, 로얄컴퍼니로 이를 비교·분석하여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첫째, 현재 욕실 속성 파악과 모호한 경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다목적 욕실성향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하며 욕실 공간의 성격은 사적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고 있는 걸 알 수 있다. 이는 급격한 사회 구조변화와 개인주의적 가치관의 변화로 어느 때 보다 복합적 공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건식마감재를 선호하는 성향으로 나타나며 이는 현재 보편화한 습식 욕실에서 변화된 인식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욕실을 더이상 생리적 위생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변화된 의미가 있다. 국내 욕실브랜드에서도 최근 물이 닿지 않는 부분에 카펫 등의 마른 마감재에 대한 제품을 선보이는 경향이다. 둘째, 주거 공간과 욕실과의 영역적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는 욕실과의 인접성 측면은 거실과의 인접에 대한 선호 현상이 나타나면 이는 욕실 공간이 거실과 함께 하나의 인테리어 공간으로 변화하는 성향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개방 욕실에 대한 노출 민감도에서는 세면대, 파우더룸, 드레스룸의 분리를 통한 건식공간으로 전환하여 다른 공간과 연계하고 습식공간을 축소가 필요하다. 또한 욕실과 상호 관련된 여러 공간을 단순히 욕실과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에서 벗어나 세면대, 샤워부스, 욕조, 양변기 등을 조합, 또는 분리하여 상호 연관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인접 배치하여 동선 단축 등의 생활 편의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욕실 공간 선호 성향은 욕실의 사적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점점 개방적 성향으로 변모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거주자의 건강을 고려하고 자연 친화 요소가 도입된 고급욕실에 대한 선호현상이 보인다. 즉 욕실 공간의 심미적 요소로서 고급 내장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자연 친화 요소의 도입을 통하여 안전하고 거주자 건강 지향적인 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 욕실 공간 모호성 표현성향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욕실 공간에 경계를 통한 모호한 표현에 필요성이 보인다. 셋째, 모호성 경계의 표현방법은 국외 욕실브랜드의 모호한 경계의 특징은 공간의 혼성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상호관입과 중첩, 구성인자들의 조합과 왜곡으로 시선을 확장해 분리된 공간과 공간을 하나로 인식 시키며, 공간의 깊이감을 주는 특성이 보인다. 이러한 경계의 모호성은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결합, 혼성, 변형되어 공간에서 일어나는 행위가 가진 의미를 모호하게 드러낸다. 국내 욕실브랜드의 경계의 모호성 특징은 모호한 경계가 전이 공간의 매개체로 작용하면서 중성적 영역으로서 동시성을 갖는다. 공간과 공간 사이의 충돌을 부드럽게 매개 하면서 전체 속에서 부분을 연속시킨다. 반면에 다른 공간으로의 변질 가능성을 가질 시, 영역의 성질은 모호해지고 비연속성을 보인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른 경계의 인식 변화에서 드러난 경계의 모호성을 스스로 생성하는 새로운 공간 변화를 위한 대안의 하나로 보고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간과 공간을 상호 커뮤니케이션하여 우리에게 다양한 공간을 체험을 제공할 것이며 기존의 전형적인 욕실 형태에서 벗어난 생활의 편의를 도모하고 현대인의 새로운 가치관과 생활양식에 맞는 욕실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78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4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T & DESIGN[E](예술디자인대학원) > 글로벌디자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