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의 농도 변화와 기상장의 상호 관련성 연구
- Title
- 동아시아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의 농도 변화와 기상장의 상호 관련성 연구
- Other Titles
- Study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oncentration changes in the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and meteorolgoical conditions
- Author
- 이종원
- Advisor(s)
- 예상욱
- Issue Date
- 2017-08
- Publisher
- 한양대학교
- Degree
- Master
- Abstract
- 대기 복사 강제력은 에어로졸 농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풍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동북 아시아의 인위적 에어로졸 강제력이 북태평양의 기후 변동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CESM과 GRIMs-Chem을 이용한 3가지 이상화 된 실험을 기반으로 동북아의 인위적인 에어로솔 강제력이 북태평양의 기후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각기 세 번의 실험과 관련하여, 1985-2010년과 1979-2010년의 실제 SST에 의해 중국 동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황산염 또는 PM2.5 배출과 함께 기준이 되는 실험을 모의한다. 두 번째 실험은 배출이 없고 실제 SST에 의해서만 영향 받는 SST 실험, 세 번째 실험은 중국 동부에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배출량과 실험 기간 별 평균 SST를 배경장으로 사용한다. 재분석 데이터 세트와 모델 실험을 비교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의 지역 에어로졸 강제력이 서부 - 중부 미국에서 지표 온난화를 일으킴을 발견하였다. 이처럼 기후 변동에 역할을 하는 에어로졸은 배출량이 줄어듦에도 증가하는 추세를 가진다. 이에 대하여 CESM을 통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해서 얻은 미래 기후 대기장을 경계장으로 갖는 GEOS-Chem으로 배출량 대비 농도가 증가하는 대기장 패턴을 발견하였다.
- URI
- http://hdl.handle.net/20.500.11754/3370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84
- Appears in Collections:
-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RINE SCIENCES AND CONVERGENT TECHNOLOGY(해양융합과학과) > Theses (Ph.D.)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