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8 0

『訓蒙字會』한자음에 반영된 等과 重紐연구

Title
『訓蒙字會』한자음에 반영된 等과 重紐연구
Author
김남지
Advisor(s)
엄익상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중국어에서 보이는 等의 차이가 한국한자음에서도 나타나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중국어 역사음운론 학계에서 오랫동안 다루어 온 等과 重紐와 관련된 문제들을 한국한자음에서 해결할 수 있는 지 연구해보고자 한다. 필자는 중세 한국한자음 시기에 속하는 자료『訓蒙字會』(訓蒙音으로 약칭)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는데『訓蒙字會』는 訓民正音으로 당시 현실 한자음을 충실히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앞에서 말한 等은 韻圖에 등장하는 용어이다. 이 等은 1, 2, 3, 4等으로 나누어져 기록되어 있는데 리 신쿠이(李新魁 1983a)에 따르면 이 等은 각 等에 속하는 한자의 주요모음 개구도 및 i개음의 유무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한다. 풀리블랭크(Pulleyblank 1983)는 이러한 等의 차이가 중세 한국한자음. 蟹, 山, 咸攝의 한자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고 한다. 필자는 그의 주장대로 한국한자음에서 等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等 외에 韻圖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重紐 현상이다. 重紐란 3等 자리에만 배치되어야 할 한자들이 4等에도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루 즈웨이(陸志韋), 똥 통허(董同龢) 등의 학자들은 중세 한국한자음에서도 이러한 重紐 현상을 찾을 수 있다고 보며 이는 重紐가 개음과 관련 있음을 증명하는 증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외에 重紐와 관련된 쟁점은 많이 있다. 그 중 필자는 重紐의 본질을 비롯한 舌齒音 성모 重紐韻의 실제 음가, 庚淸韻 重紐 포함설, 重紐B 상고개음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풀리블랭크는 蟹攝, 山攝, 咸攝의 한국한자음에서 等의 차이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풀리블랭크는 주요모음에만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蟹攝, 山攝, 咸攝에서만 等의 차이를 발견한 것이다. 필자가 연구한 결과 訓蒙音에서 蟹攝, 山攝, 咸攝에서 等에 따른 주요모음과 개음 유무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遇攝, 通攝, 假攝, 宕攝의 경우 等에 따라 개음 유무의 차이를 보였다. 이와 달리 曾攝, 果攝의 경우 等의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명확히 차이를 보인다고는 할 수 없으나 等의 흔적을 볼 수 있는 攝에는 臻攝과 流攝이 있다. 이와 같이 訓蒙音에서 等의 차이가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等의 차이가 중국방언, 현대 한국한자음, 현대중국어보다 훈몽음에서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重紐 현상과 관련한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하였다. 訓蒙音에서 重紐 현상을 보이는 韻은 支, 脂, 鹽, 仙韻뿐이며 眞, 宵, 祭, 侵韻의 경우 重紐 A와 B사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重紐의 본질이 개음의 차이임을 확인했으며 重紐3等은 ɨ개음을, 重紐4等은 i개음을 가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뿐 아니라 똥 통허가 주장한 바와 같이 訓蒙音에서 重紐韻 舌齒音은 重紐4等(A)와는 같은 부류에 속하며 重紐3等(B)과는 다른 부류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庚淸韻 重紐 포함설, 重紐B 상고개음설과 관련하여 필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訓蒙音에서 庚3等 입성 한자들 중 ‘윽’으로 대응되는 한자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여기서 庚3等에 나타난 ‘윽’의 음은 庚3等의 일부가 重紐3等이었음을 보여준다, 필자는 또한 訓蒙音에서 ‘으’를 주요모음으로 하는 한자에 止攝의 支韻, 之韻, 微韻, 深攝의 侵韻, 曾攝의 曾韻, 梗攝의 庚韻, 臻攝의 臻韻, 眞韻, 欣韻, 痕韻, 文韻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들 韻은 重紐韻이 있는 攝에 나타나는데 이는 重紐B 상고개음설을 지지하는 증거가 된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等에 따른 訓蒙音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重紐가 개음의 차이라는 것과 舌齒音 성모 重紐韻이 重紐4等과 한 분류라는 주장이 타당함도 입증하였다. 訓蒙音에서 庚淸韻이 重紐에 포함된다는 증거도 찾았으며 訓蒙音‘으’음이 重紐B개음을 반영했다는 것도 알아냈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6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7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