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일규-
dc.contributor.author허규화-
dc.date.accessioned2017-11-29T02:29:48Z-
dc.date.available2017-11-29T02:29:48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3540-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925en_US
dc.description.abstract배경: 황달의 원인 질환은 크게 직접 고빌리루빈혈증과 간접 고빌리루빈혈증으로 대변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황달 환자에서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이 모두 증가한 소견을 보인다. 총 빌리루빈에 대한 직접 빌리루빈의 비(d/t ratio)가 일정 cut-off value 이상이면 직접 고빌리루빈혈증이라고 분류할 수 있지만 사용자마다 cut-off value가 서로 달라 사용에 혼란이 초래된다. 본 연구에서는 황달의 원인 질환별로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총 빌리루빈과 d/t ratio 사이의 관계를 관찰하여 d/t ratio를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방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내원한 담즙정체질환과 용혈성 빈혈, 신생아 황달 환자들의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검사결과 총 4357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즙정체질환은 세부 질환들로 분류하였고 용혈성 빈혈과 신생아 황달은 따로 분류하지 않았다. 각 질환별로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그리고 총 빌리루빈과 d/t ratio 사이에서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한편 직접 빌리루빈 혹은 간접 빌리루빈만 단독으로 증가한다는 가정하에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그리고 총 빌리루빈과 d/t ratio 각각의 상관관계 이론 모델을 설정하여 실제 환자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모든 담즙정체질환에서 총 빌리루빈과 직접 빌리루빈 사이의 회귀곡선의 식은 이론 모델처럼 직선 상관관계를 보였고 상관계수(r) 는 0.97 이상을 나타냈다. 기울기는 0.7과 0.9 사이로 세부질환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론 모델의 1보다 낮았다. 모든 담즙정체질환에서 총 빌리루빈과 d/t ratio 간의 회귀곡선도 이론 모델처럼 역 모형의 상관관계를 보여, 처음에는 총 빌리루빈이 증가하면서 d/t ratio도 같이 증가하지만 총 빌리루빈이 10 mg/dL 전후부터는 증가 정도가 급격히 떨어져 d/t ratio가 0.7과 0.9 사이의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총 빌리루빈이 10 mg/dL 이상인 경우에는 d/t ratio가 0.7 이상일 때 담즙정체질환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고, 특히 d/t ratio 가 높을수록 간외 담즙정체질환이나 급성 간염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총 빌리루빈이 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d/t ratio가 0.7보다 낮더라도 담즙정체질환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총 빌리루빈을 함께 고려할 때 d/t ratio를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direct/total bilirubin ratio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tudy for clinical usefulness of direct/total bilirubin ratio-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허규화-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yuhwa Hur-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CINE(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