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0 0

연극언어 변용을 통한 연극성 확장 연구

Title
연극언어 변용을 통한 연극성 확장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expansion of theatricality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atrical language: ˂An Enemy of the People˃ directed by Thomas Ostermeier and ˂Opening Night˃ directed by Ivo Van Hove
Author
이유미
Alternative Author(s)
Lee, Yu Mi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극성을 두 가지 패러다임으로 분류하여 논의한 것이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탈희곡적’ 형태로 관객의 ‘수행성’을 이끌며 연극성을 확장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탈희곡적’ 경향은 드라마의 위기, 재현의 위기 등이 언급된 시기부터 아방가르드 연극에 이르기까지 만연했다. 따라서 ‘탈희곡적’ 형식만으로 포스트드라마 연극이 연극성을 확장한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스-티스 레만(Hans-Thies Lehmann, 1944~)의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이러한 문제에 답을 내리고 있는 셈이다. 그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드라마‧시간‧공간‧신체 등의 해체와, 연극과 미디어의 결합으로 분석했다. 전자는 고전적 연극언어의 변용이고 후자는 타 매체의 도입이다. 즉 레만에 따르면, 포스트드라마 연극은 연극매체만을 활용하는 방식과 타 매체를 접목하는 형태로 나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양상은 다양한 연출기법을 구사하며 연극성을 확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이러한 두 가지 양상을 고전적 연극언어의 탈영토화와 영상도입으로 재정의 하고 실례를 통해 이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탈영토화는 기존 체계와 질서를 벗어나는 개념으로, 연극언어를 변주하여 종래의 생산과 수용 체계를 탈피하는 연출기법을 대변한다. 토마스 오스터마이어(Thomas Ostermeier, 1968~)의 <민중의 적>은 이러한 현상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오스터마이어는 사실주의 원작을 브레히트의 서사극으로 재해석하면서도 서사극의 기존 체계를 벗어나는 독자적인 연출을 선보였다. 또한 관객은 공동생산자가 되어 행위자의 역할을 이행했다. 즉 그는 연극언어와 극형식에서 탈영토화를 구현하며 관객의 직접 참여를 이끈 것이다. 반면 영상도입은 무대의 아날로그적 한계에 테크놀로지를 더하며 기술적 확장을 이룬다. 영상과 기술의 접목은 시‧공간을 해체하며 연극언어의 영역을 확장하고 결과적으로 상호매체적 연극을 양산한다. 이보 반 호프(Ivo van Hove, 1958~)의 <오프닝 나이트>는 상호매체적 연극의 특징을 대변하는 작품이다. 이는 원작인 영화를 연극화한 것으로 매체전환에 따른 효과를 살펴 볼 수 있어 두 매체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데 이점이 있다. 또한 영화의 카메라기법과 영상의 무대 연출기법을 비교분석 하는 데 용이하다. 이러한 상호매체성은 매체 간 결합에 주력하며 비선형적인 구조를 만든다는 점에서 관객의 주체적인 사고를 유도한다. 이처럼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수행성은 극형식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며, 이는 연출기법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극형식의 연출기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수행성의 양상과 효과를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연극성 확장을 논하는 초석이 되고자 한다.; In this study, the theatricality of post-dramatic theatre is discussed in two paradigms. Post-dramatic theatre has a form, ‘deviating from drama’ and it has a value in terms of expansion of theatricality since it derives the viewer’s ‘performance’. However, this trend ‘deviating from drama’ has been prevalent from the moment when crisis of drama and crisis of representation were mentioned to the era of avant-garde theatre. Therefore, it is premature to say that post-dramatic theatre expands the theatricality with its form ‘deviating from drama’. 󰡔Postdramatic Theatre󰡕 written by Hans-Thies Lehmann(1944~) can be an answer to this matter. Based on his analysis, post-dramatic theatre means dissolution of drama, time, space, and the body or union of theatre and media. The former is a transformation of classic theatrical language and the latter is an introduction of other media. So, according to Lehmann, post-dramatic theatre can be divided into two forms including the form where only theatrical media is used and the form where other media is applied. Thus, post-dramatic theatre appears to use various directive techniques and to expand the theatricality. In this study, these two characteristics are redefined as deterritorialization of classic theatrical language and introduction of video and they are concretely analyzed through practical example. The deterritorialization means to be free from existing system and order and it represents the directive technique, which is free from existing system of production and acceptance by transforming theatrical language. directed by Thomas Ostermeier(1968~) vividly shows this phenomenon. Ostermeier reinterpreted realistic original work as Bertolt Brecht’s epic theatre and showed his unique directive technique by being free from existing system of epic theatre. Also, as a co-producer, the viewers played the role of a performer. In other words, he realized the deterritorialization in terms of theatrical language and theatrical form and derived the viewer’s direct participation. Meanwhile, the introduction of video added the technology to analog limitation of the stage and achieved technological expansion. Application of video and technology dissolves the time and space and expands the area of theatrical language and eventually produces inter-mediatic theatre. directed by Ivo van Hove(1958~)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tic theatre. The theatre has its original work, which was a movie, and it is advantageou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wo media since the effect from media conversion can be easily seen. Also, it is easy to compare and analyze camera technique from movie and directive technique related to video for the stage. This inter-mediatic characteristics focus on the union of media and create non-linear structure, so it is easy to derive the viewer’s subjective thinking. In short, in post-dramatic theatre, the viewer’s performance appears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heatrical form and this is caused by the directive techniqu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irective techniques in different theatrical forms are concretely analyzed and the aspect and effect of the corresponsive performance are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be the groundwork for the research on expansion of theatricality in post-dramatic theatre.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4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4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