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5 0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Title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ranchise Jewelry Brand
Author
신정혜
Alternative Author(s)
Shin, Jung Hei
Advisor(s)
이형규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논문은 경기 악화로 인해 중⋅저가 시장이 확대되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주얼리 브랜드 창업 혹은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 관련 선행연구, 기사, 정기간행물,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국내 주얼리 산업의 현황과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를 조사하였다. 사례연구에서 선행논문과 연구보고서를 통해 국내 주얼리 브랜드 10개를 선정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하여 기준으로 제시한 17개의 형태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2015년 6월부터 2016년 8월까지 6개 품목 총 10,316개 주얼리 제품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제품은 금속⋅보석⋅도금에서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재료적인 측면에서 가장 높은 사용 빈도를 보인 금속은 실버와 14K 골드였으며 원자재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인해 금의 순도를 낮춘 10K, 5K 골드가 나타났다. 골드와 실버 제품을 중심으로 선보이는 브릿지주얼리 브랜드에서는 금속의 중량이 적게 소요되는 선적인 표현이 주로 나타났다. 주얼리 제품의 도금 색상은 화이트, 옐로우도금이 10개의 브랜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핑크도금 역시 높은 사용 빈도를 보였다. 블랙도금과 콤비도금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주얼리 제품의 보석사용에서는 보석 없는 주얼리, 큐빅, 스와로브스키 스톤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제품 수량 비중은 순차적으로 귀걸이, 반지, 목걸이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고 다음으로 커플링과 팔찌가 동일한 비율을 보였으며 펜던트가 가장 낮은 비중의 품목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제이에스티나는 원형, 직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였으며 미니골드는 직선, 곡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이 나타났다. 엠주는 직선, 곡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였으며 클루는 곡선, 직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이 나타났다. 로이드는 곡선, 해/달/별/별자리/구름 형태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였으며 빈티지헐리우드는 인간/동물/곤충, 직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이 나타났다. 스톤헨지는 곡선, 원형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였으며 스타일러스는 원형, 직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이 나타났다. O.S.T는 곡선, 해/달/별/별자리/구름 형태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을 보였으며 러브캣비쥬는 직선, 곡선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적 특성이 나타났다. 주얼리 제품의 조형적 특성을 17개의 형태로 분석 결과를 보면 순차적으로 직선>곡선⋅원형>꽃⋅해/달/별/별자리/구름>하트>오브제⋅기호>사각>나무/나뭇잎/식물/과일⋅인간/동물/곤충>나비⋅리본>삼각⋅물방울⋅눈꽃⋅십자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도형⋅자연⋅사물⋅추상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을 때 중성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도형적 표현이 가장 높은 사용 비율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자연, 사물, 추상의 순으로 형태 표현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형태 분석을 통해 10개의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에서 공통적으로 보유한 형태는 원형, 사각형, 곡선, 직선, 해/달/별/별자리/구름, 하트 형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체적으로 높은 보유율을 지닌 형태는 꽃, 십자가, 오브제, 기호였으며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는 삼각형, 나무/나뭇잎/식물/과일, 인간/동물/곤충, 리본, 물방울형이었다.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차별화된 디자인과 유사 디자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차별화된 디자인에서는 자연 형태가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유사 디자인에서는 도형 형태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10개의 브랜드에서 형태 분석⋅차별화된 디자인⋅유사디자인을 통하여 살펴보면 공통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인 형태는 직선, 해/달/별/별자리/구름, 리본, 기호의 형태로 찾아볼 수 있었다. 물방울형은 공통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여 다방면으로의 디자인 개발이 필요한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국내 프랜차이즈 주얼리 브랜드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할 수 있었으며 주얼리 산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27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