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6 0

김수영과 김춘수 시학에 나타난 미적 이데올로기 연구

Title
김수영과 김춘수 시학에 나타난 미적 이데올로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esthetic ideology in Kim Soo-young’s and Kim Choon-su’s poetics
Author
신동옥
Alternative Author(s)
Shin, Dong-Ok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김수영과 김춘수는 한국 현대시사를 통해서 반복해서 호명되는 문제적인 시인들이다. 두 시인은 모두 시적 현실과 역사․사회적 현실에 대한 나름의 관계를 바탕으로 시관을 정립했으며, 시관을 방법론 및 인식론의 차원으로 확장했다. 두 시인에게서 발견하게 되는 주체화 과정은 이후의 한국시사가 정립되는 과정과 큰 틀에서 맞물린다고 해도 과장은 아닐 것이다. 김수영과 김춘수는 식민지의 수도 경성에서 중등학교 과정을 보냈다. 문학에 뜻이 없었던 이들은 일본 유학 과정을 거치며 예술에 대해 눈을 뜬다. 김수영은 몰락한 제국 일본의 언어를 원언어로 두고 부상하는 제국의 언어를 통해 세계상의 심상 지리를 만들어가며 한국어의 맞쪽을 궁구했다. 김춘수는 제국의 수도 동경에서 서툰 조선어로 습작을 시작했고 끝까지 한국어의 ‘입법틀’과 싸움을 벌였다. 이들의 시세계는 해방기와 더불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다. 1959년 김수영은 󰡔달나라의 장난󰡕, 김춘수는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및 󰡔꽃의 소묘󰡕를 상자할 때까지 긴 트레이닝의 시기를 거친다. 1960년대에 들어서서 각자 개척한 독자적인 미학화 전략을 정예화한다. 이 글은 현대시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추적하는 데서 가정을 수립한다. ‘시라는 미학적인 언어 구조물이 인식상의 내러티브로 표상되는 방식은 어떤 모양새를 띨까?’ 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데올로기 일반론과 구별하기 위해서 이러한 양상을 ‘미적 이데올로기’라고 명명한다. 미적 이데올로기의 이론화 가능성을 추적하는 데서 논의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서 이데올로기 메타포가 기능하는 가운데 시적 주체가 어떻게 정립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우선 탐문했다. 시적 언어와 일상적인 언어의 차이에 대한 인식을 ‘산 체험(lived experience)’에서 ‘발화 행위’로 넓혀 바라본 바흐찐에서 논의의 힌트를 얻은 다음 롤랑 바르트의 시적 글쓰기 행위의 기능으로 보론을 얻을 수 있다. 역사․사회학계의 견해를 빌리자면, 해방기에서 1960년대에 이르는 한국 사회는 ‘자발적 동의에 의한 반공규율사회’, ‘일민민주의의 파시즘에서 개발독재로 선회하는 근대화 가치 지향 사회’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한국전쟁이라는 커다란 결절점이 도사리는 시기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사회적 적대’는 은유적으로 재구성된다. 적대의 구성은 ‘적’과 ‘제3자’를 명명하는 과정과 동궤를 이룬다. 시는 이런 제반 조건들을 특유의 미학화 전략으로 언어화한다. 김수영의 경우 그것이 문체에의 의지에서 발돋움한 굴절의 시학으로 나타났다. 김춘수의 경우 형식에의 의지에서 발돋움한 봉쇄의 시학으로 나아갔다. 이것이 이 글의 가정이고 결론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Ⅱ장에서는 현대시와 미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개념화 및 이론화에 할애했다. Ⅲ, Ⅳ, Ⅴ장은 텍스트 분석이다. Ⅲ장에서는 김수영의 시학에서 모순의 인식론이 발생하는 경로와 김춘수의 시학에서 전도와 삭제를 통해 회귀 지점을 재설정하는 양상을 논구했다. Ⅳ장에서는 두 시인이 각각 정치적 상상계와 역사적 상징계에 대한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시관을 정립해간 사실을 추적했다. Ⅴ장에서는 두 시인의 미학화, 매개화 전략을 각각 굴절과 봉쇄로 결론짓고 그 방법론을 논파했다. Ⅵ장은 결론이다. 논의의 근거를 다시 한 번 강조하며, 본론의 논지를 요약했다.; Kim Soo-young and Kim Choon-su are two poets whose names have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Both of them established their own poetic viewpoint under a relationship among and between poetic reality and historical and social reality and expanded it to the realm of methodology and epistemolog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subjectivation process found in them largely overlap with how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developed afterwards. Both of them completed the secondary education in Gyeongseong, the then capital of Joseon, as a colony of the Japanese Empire. They had no interest in literature before they went to Japan for study and found arts interesting. Using the language of the failed Japanese empire as the original language, Kim Soo-young developed an imaginary topography of the world view with the language of the emerging empire and investigate equivalents in Korean. Kim Choon-su started practice of writing poetry in Tokyo, the capital of the empire, with his poor language of Joseon and struggled with the ‘justification’ of Korean to the end. Their poetic career began in earnest with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two poets went through a long training period until Kim Soo-young released the poem ‘Play in the Moon Country’ n 1959, and Kim Choon-su published poems ‘The Death of the Girl in Budapest’ and ‘The Drawing of the Flower.’ In the 1960s, they refined their own aestheticizing strategies. This paper sets hypotheses by examining a relationship between modern poetry and ideology; that is, ‘How can poetry as an aesthetic linguistic structure be expressed in cognitive narrative?’ In order to distinguish from ideology in general, this is called ‘aesthetic ideology’ in this study. This study started the discussion by exploring whether aesthetic ideology can be a theory. To this end, theoretical grounds for the establishment of poetic subject in ideology metaphor were looked into first. By picking up an idea from the study of Mikhail Bakhtin which views the cogni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poetic language and everyday language by extending from ‘lived experience’ to ‘utterance,’ it is possible to find supporting ideas from Roland Barthes’ function of act of poetry writing. From the perspectives of historians and sociologists, the Korean society during the period from its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rule to the 1960s can be defined as a society pursuing modernization values which moves from ‘anti-communist regimented society based on a voluntary agreement’ and ‘one nation principle fascism’ towards development dictatorship. In addition, during the period, the Korean War broke out as an important node. Amid these changes, ‘social antagonism’ was reconstructed in metaphor. Construction of antagonism is in line with the process of naming an ‘enemy’ and ‘a third person’. Poetry translates all of these conditions into the language of unique aestheticizing strategy, which appeared as poetics of inflexion growing from the will to style in Kim Soo-young, while developing into poetics of containment evolved from the will to formality in Kim Choon-su. This is the hypothesi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Based upon these ideas, Chapter Ⅱ discusses the conceptualization and theorization of modern poetry and aesthetic ideology. This paper conducts text analysis in Chapters Ⅲ, Ⅳ, and Ⅴ. In chapter Ⅲ, this article examined how epistemology of contradiction occurs in Kim Soo-young’s poetics and how Kim Choon-su’s poetics resets the point of return via transposition and deletion. Chapter Ⅳ assessed how each of them developed their own poetic viewpoints on the basis of political imaginary and historical symbolic narratives. Chapter Ⅴ concludes that their aesthetics and strategy of mediation are inflexion and containment, respectively, examining the methodology. As a conclusion, chapter Ⅵ once again stresses the grounds of this discussion and summarizes points of the present article. ※ Key words : Kim Soo-young, Kim Choon-su, ideology, aesthetic ideology, contradiction, transposition, inflexion, containment, aestheticizing strategy, strategy of mediation, will to style, will to formality, poetics.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23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