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3 0

탈근대 공간 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

Title
탈근대 공간 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개념적 모형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Conceptual Model of Ecological Learning System for Quality College Classes Based on Postmodern Spatial Discourses
Author
임상훈
Alternative Author(s)
IM, SANGHOON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대학교육에서 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다양한 활동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질 좋은 수업, 즉 ‘좋은 대학수업’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은 주로 ‘좋은’의 의미에 대한 단편적 정의, 교수나 학생이 만족하는 수업의 특성 규명, 수업 내용과 무관한 처방적 접근 등에 머물러 있다. 대학수업을 구성하는 인적 요인 사이의 관계, 수업 내용과 방법의 연계성, 현장에서 통용되는 실제적 맥락에서 ‘좋은’이란 무엇인지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이 불분명하다보니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 역시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좌우되는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를 재개념화 했다. 특히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를 구성하는 요인 간의 권력 관계를 찾아내고 지배 · 피지배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좋은 대학수업은 ‘강의 우수 교수의 수업’이란 담론을 시작으로, ‘혁신적인 수업’과 ‘강의평가 점수가 높은 수업’으로 교육에서의 신자유주의적 합리성의 심화가 드러났으며, 이에 대한 저항으로 ‘소통하는 수업’까지 담론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좋은 대학수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과 생태학적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재개념화된 좋은 대학수업은 학습자로서의 학생을 중심으로 교수, 교수학습전문가, 정부기관인 등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수업의 내용적 심화, 방법적 혁신, 유연한 환경 구축을 이루어 모두가 행복한 수업이 되는 것을 의미했다. 재개념화된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탈근대 공간 담론을 적용하였다. 탈근대 공간 담론은 창의적이고 창발적인 지식 구성, 학생 중심의 양방향 학습, 가상공간의 활용 등 다양한 환경 변화를 포괄할 수 있는 관점이다. 이에 재개념화된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대표적인 탈근대 공간 담론인 Foucault, Lefebvre, Deleuze, 그리고 유비쿼터스 공간 담론에 대한 비교 · 분석을 통해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설계 원리를 도출했다. 설계 원리는 모순적 요소 양립성, 사회 · 문화적 자기조직성, 반 폐쇄적 개방성, 그리고 네트워크 기반 편재성이다. 설계 원리에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에서의 학습 활동을 적용하여 설계 전략을 도출했다. 설계 전략은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배우는 소셜 러닝, ‘느슨한 공동 개발방식’을 적용한 진화적 내용 구성, 데페이즈망 기법에 착안한 하이브리드적 수업, 그리고 학습 점이지대의 슬럼화에 대한 전략적 돌봄이다.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재개념화, 탈근대 공간 담론을 적용한 설계 원리 및 설계 전략을 바탕으로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것은 사회적 맥락이 작동하는 비공식적 학습공간과 실제적인 수업이 이루어지는 공식적 학습공간을 기본으로 한다. 공식적 학습공간은 네 가지 설계 원리에 의해 구현되었다. 공식적 학습공간의 중심에는 재개념화된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를 놓고 물리적 공간-가상공간, 홈 패인 공간(striated space)-매끄러운 공간(smooth space), 공유 공간-개인적 공간의 공간 쌍을 중첩하여 배치하였다. 공식적 학습공간과 비공식적 학습공간과의 경계에 학습 점이지대가 위치한다. 공식적 학습공간과 비공식적 학습공간 사이에는 개인적 학습 맥락이라는 완충 지대를 갖고 있다. 비공식적 학습공간은 외부 내용적 지원, 외부 방법적 지원, 외부 환경적 지원 요소들이 배치되며, 이것들은 공식적 학습공간과 상호 작용하며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총체적 진화를 지원한다. 공식적 학습공간은 비공식적 학습공간과 교류하며 네 가지 설계 전략에 근거한 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 첫째는 유목적(nomadic) 소셜 러닝, 둘째는 폭소노미적(folksonomy) 학습 내용 구성, 셋째는 하이브리드적 수업, 넷째는 학습 점이지대의 보살핌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탈근대 공간 담론에 비추어 본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의 개념적 모형은 완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불명확했던 좋은 대학수업의 의미와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으로서 생태학적 패러다임, 탈근대 공간 담론 등을 적용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좋은 대학수업 생태계가 실제적으로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방향을 세 가지로 제언했다. 첫째, 신자유주의적 교육관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학습 주권을 회복하여 진정한 의미의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수업 안에 내재된 근대적 지식과 이념 체계를 극복하고 상생과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새로운 지식관이 요구된다. 셋째, 탈근대적 관점에서 좋은 대학수업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수업 설계방법으로서 새로운 방식의 ISD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대학교육의 질 관리와 좋은 대학수업의 구현과 관련하여 고민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들에게 의미 있는 인식의 전환을 이끌고, 새로운 도전과 시도를 할 수 있는 용기를 북돋는 역할을 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20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6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