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8 0

직원열의의 통합적 개념모형과 측정도구 개발

Title
직원열의의 통합적 개념모형과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ing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and Measurement for the Employee Engagement
Author
김지현
Alternative Author(s)
JeeHyeon Kim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직원열의가 조직의 재무적 성과와 직원의 충성심, 직원유지와 같은 조직의 전반적인 가치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침을 검증한 선행연구를 토대로(Hallberg, Johansson & Schaufeli, 2007; Harter, Schmidt, & Hayes, 2002; Schaufeli & Bakker, 2004), 글로벌 기업의 리더와 관리자급의 직원들에게 직원열의는 인적자원관리 측 면에서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고 있다(Mehta, D & Mehta, N. K., 2013; Welch, 2011).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직원열의의 한계점을 두 가지로 요약 하 였다. 첫째, 직원열의의 개념은 학자마다 접근 방식이 상이하고 해석의 오류로 인한 유사변수와의 혼용으로 인하여 학계에서 이론적으로 명확하지 않다. 둘 째, 통합적 개념 모형의 부재로 직원열의 대한 개념과 측정도구가 다르게 사 용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직원열의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조직구성원의 직원열의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1) 직원열의(Employee Engagement)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여 통합적 개념 모형을 개발하고, 2) 제시된 모형의 구성요인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 이다. 먼저 문항개발을 위하여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한 직원열의의 재 개념화와 구성요인을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통합적 개념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념모형 개발을 통해 도출된 직원열의의 구성요인을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작성하고, 학계전문가와 현장전문가로 구성된 4명의 전문가들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하고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확정된 직원열의의 예 비문항을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성인 남녀 조직구성원 350명을 대상으로 탐 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직원열의 측정도구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또한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측정동일성 검증과 고차원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원열의 척도와 주요 연구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원열의의 개념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였 으며, 개인의 자발적 동기 상태에 의해 즐겁게 업무를 수행하는 개인의 태도 와 행동의 상태로 재 정의하였다. 그리고 직원열의의 통합적 개념에 대한 구 성요인은 개인열의, 직무열의, 관계열의, 조직열의이며, 자기결정이론과 개인- 환경 적합성 이론을 근거로 하였다. 둘째, 도출한 구성요인을 토대로 개발한 직원열의의 예비 문항은 전문가들의 내용타당성 검증을 통해 문항 수정 및 삭 제 과정을 거쳐, 네 개의 구성요인(개인열의, 관계열의, 직무열의, 조직열의)의 24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이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열의를 설명하는 3개의 문항을 추가적으로 제거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적 유의성뿐만 아니라, 모형적합도와 집중타당성 및 판별타당성 모두를 충족 하였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추가적으로 측정동일성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원열의의 측정도구가 채용구분(정규직, 비정규직)과 상관없이 동일하 게 진단될 수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고차원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잠재 변수와 관측변수 간의 적합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원열의의 측정도구는 네 개의 구성요인(개인열의, 관계열 의, 직무열의, 조직열의)과 21개의 하위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신뢰도 및 타 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직원열의의 측정도구는 이론적인 측면에서 직원 열의의 개념을 통합하고 다차원적으로 확장하였기 때문에 직원열의 연구에 이 론적 토대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실천적인 측면에서 HR 담 당자와 리더들의 인식의 변화와 직원열의 수준을 진단 및 관리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직원열의, 통합적 개념모형, 측정도구, 자기결정성, 개인-환경적합성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2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6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