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승철-
dc.contributor.author주형준-
dc.date.accessioned2017-11-29T02:28:48Z-
dc.date.available2017-11-29T02:28:48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317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704en_US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급속한 산업 환경의 변화로 지역SW진흥기관이 SW사업(프로젝트) 수행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이 많아져 기관의 프로젝트 담당자들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기관의 프로젝트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과 기관의 프로젝트 관리 역량(성숙도) 향상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지역SW진흥기관)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와 관련한 연구는 현재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SW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21개 지역SW진흥기관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 및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프로젝트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기관의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이 무엇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한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은 IPMA ICB 3.0(2006)의 역량 기준(기술적 역량, 행위적 역량, 상황적 역량)을 이용하였으며, 조절변수로 사용한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는 Crawford(2014)의 PM solutions PMMM을 사용하여 두 가지[2단계(high, low), 3단계(high, medium, low)]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속변수로 사용한 프로젝트 성과는 두 가지 성과(관리 성과, 완료 성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21개 지역SW진흥기관 프로젝트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 방법은 설문지를 해당기관 프로젝트 담당자에게 직접 이메일(e-mail)을 배포하고 수령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여 설문조사 대상자 약 200명 중 164명으로부터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실증 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빈도 분석, 신뢰성 분석, 타당성 분석, t-test, 분산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지역SW진흥기관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해 내었으며,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을 구성하고 있는 3가지 역량(기술적 역량, 행위적 역량, 상황적 역량) 중 행위적 역량과 상황적 역량은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술적 역량은 기각되었다. 기관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과 프로젝트 성과에 조절효과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기관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구분한 2단계(high, low)와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의 분포를 고려한 3단계(high, medium, low)를 t-test와 분산 분석을 통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한 다음, 조절효과 분석을 진행하여 2단계와 3단계 모두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도출해 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향후 지역SW진흥기관의 프로젝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과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기관 차원의 체계적인 방안(교육, 학습효과 축적 등)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ue to the recent rapid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there are many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regional SW promotion agency performs SW business projects. It is often difficult for the project managers of the agency to carry out the projects successfully. In order to improve the agency's project performance in such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s and the project management capability of the agency. However, research on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s and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to improve the project performance for public institutions such as ‘regional SW promotion agencies’ is very limi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the project managers' competence and project management maturity on project performance for 21 regional SW promotion agencies that are conducting SW projects, and look at what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agency’s project performance.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was based on the three competences criteria ‘technical competences, behavioral competences, contextual competences’ of IPMA ICB 3.0(2006).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used as a moderator variabl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levels by using PM solutions PMMM model of Crawford(2014). Finally, the project performance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into two performances, management performance and completion performance.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roject managers of 21 regional SW promotion agenci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project managers of the relevant agency by e-mail. The sample was obtained from 164 out of 200 respondents.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for empir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the influence of the project manager's competence on the project performance is positive. Among the three competences that constitute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 the behavioral competences and the contextual competenc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ject performance, but the effect of technical competences was rejected.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agency's project management maturity plays a moderating role on the project manager's competence and the project performance, the samples were grouped into two levels and three levels based on the average value and the distribution. It was found that both two and three levels revealed moderating effects. In summary, in order to improve the project performance of regional SW promotion agenc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plan and make efforts in the agency's dimension to continuously improve the competence of the project manager and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프로젝트 담당자의 역량과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Impact of the Personal Competence and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on Project Performance : With a Focus on the Project Managers in Regional SW Promotion Agency-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주형준-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 Hyoung Ju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TRATEGIC MANAGEMENT(전략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