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4 0

규칙, 불규칙의 관점에서 본 칸의 벽난로 계획과 평면 구성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Title
규칙, 불규칙의 관점에서 본 칸의 벽난로 계획과 평면 구성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uthor
홍예은
Advisor(s)
남성택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루이스 칸의 벽난로에 대한 연구이다. 그는 벽난로에 대해 “하나의 작은 집"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었으며 후기 주택인 피셔 주택(Fisher House)에서는 주택 안의 주인공처럼 벽난로가 다루어졌다. 벽난로는 설비 시설에 불과하지만 근대 건축가 중 특히 루이스 칸은 중심 공간과 같이 다루었음을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한다. 칸은 설비공간과 거주공간에 대해 명확한 생각을 갖고 있었다. 설비공간이 거주공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철저히 분리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것은 칸이 설비공간을 중요시했기 때문이 아니라 덕트들을 싫어하기 때문에 오히려 그것들을 위한 공간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러한 생각은 스코틀랜드 성의 두꺼운 벽 속의 숨겨진 공간들을 발견하고 그것에 영감을 얻은 후로 더 확실해 졌다. 그러나 초기 주택인 오저 주택(Oser House)부터 후기의 피셔 주택에 이르기까지 설비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벽난로에 대해 칸은 점차적으로 주 공간, 주 요소로 여긴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스코틀랜드 성의 두꺼운 벽 속에 숨겨져 있던 설비공간(보조공간)이 공간 속의 오브제로 형체가 드러난 듯하다. 주변(Edge)에 있던 두꺼운 벽 속의 벽난로는 공간 속의 중심(Centre)으로 등장하며 이러한 주변, 중심과 규칙, 불규칙적 변화는 그의 평면 구성 방식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칸은 "문제가 무엇이든 정사각형으로 시작한다."는 언급처럼, 트렌톤 배스 하우스(Trenton Bath House)와 같이 정사각형 평면들의 구성을 보여주곤 했다. 솔크미팅하우스(Salk Meeting House)와 도미니칸 마더하우스(Dominican Motherhouse)는 평면 구성이 서로 역전되었다고 언급된 바 있다. 칸은 주로 하나의 중심 공간을 두고 그것을 둘러싼 규칙적. 불규칙적 주변공간으로 평면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마더하우스에 들어서서는 다수의 중심공간들이 있었고 그것을 각각 강조하고 드러내는 방식으로 독립적인 공간을 불규칙적인 배치를 사용하였다. 각 공간들이 오브제처럼 여겨지고 꼴라쥬의 형식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평면을 완성했다. 뒤이어 트렌톤 데이 캠프(Trenton Day Camp)와 엑시터 도서관과 휴게 공간의 대지 계획(Exeter Library and Refectory Site Plan)에서는 위계가 없는 독립적이고 불규칙한 배치가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평면 구성은 피셔 주택의 두 개의 사선으로 배치된 큐브와 거실 공간 속 곡면의 애매한 각도로 놓인 벽난로까지 이어진다. 피셔주택의 평면은 크게 4단계로 변화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모습으로 확정되었다. 초기 도면에서는 주방공간에 두꺼운 벽 속에 숨겨진 벽난로의 모습이 보인다. 그러나 곧 최종 도면으로 갈수록 두꺼운 벽이 얇아지고 숨겨져 있던 벽난로는 하나의 오브제로 공간 속에 형태가 드러나며 주인공처럼 보여 진다. 칸의 벽난로에 대한 관점을 통해 그가 주거의 “Institution”을 한 장소에 머물고자 하는 존재의지와 바람으로 본 것은 아닌지 알 수 있다. 칸은 마지막 주택 작품인 코르만 주택(Korman House)에서 세 개의 벽난로가 각각 거실, 주방, 서재 등의 공간을 주택의 씨앗처럼 태동시키며, 하나의 주택을 완성한 듯하다. 필라델피아 도시 계획 속의 주차 타워를 비롯한 시 중심부를 활성화하는 시설들을 “도시의 성당”들이라고 명한바 있다. 레이너 밴험은 “The Environmental Bubble”에서 설비기계만 있으면 최소한의 주거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칸의 벽난로는 주거의 Institution이 아닐까?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12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