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2 0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 Aged Couple
Author
김대숙
Alternative Author(s)
Kim, Dae Sook
Advisor(s)
홍(손)귀령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기대여명이 늘어나면서 생의 주기에서 노년기가 길어지고 부부가 함께 지내는 기간도 연장되어 노년기 부부의 삶의 질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노년기 부부는 정서적 지지의 교류로 상호의존하고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주부양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배우자의 중요성이 높다. 가부장적 사회문화 안에서 결혼생활을 유지해온 우리나라의 노년기 부부들은 변화하는 노년기의 역할 전환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오랜 시간동안 억눌러 왔던 다양한 문제로 불안정한 결혼생활이 표출되기도 한다. 현대 사회는 점차 개인의 복지 개념과 결혼에 대한 가치관이 변화하여 결혼 생활의 갈등이나 불안정성이 해결되지 않았을 때 결혼을 해체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노년기 부부의 이혼은 경제적 빈곤, 사회적 배제, 주거 및 돌봄의 문제, 노인범죄의 노출, 자살 등과 같은 개인과 가족,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의 문제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년기 부부 갈등이나 이혼을 예방할 수 있는 바람직한 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목적으로 부부 관계강화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부부 여가 프로그램의 관점을 넘어 부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관계강화(RE: Relationship Enhancement) 훈련과 성과 건강 교육을 주요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의사소통 훈련 전에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한 후 RE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훈련은 부부가 대화할 때 표현과 공감 기법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대화방식 전환(switching mode)’ 기법 훈련에 중점을 둔다. 성과 건강 교육은 건강 관점으로 접근한 성생활과 만성질환 교육, 성인식의 제고를 위한 성교육, 영상시청 및 친밀한 스킨십을 유도하기 위한 부부 요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로 유사 실험 연구로 설계되었고, 결혼만족도, 부부 의사소통, 성친밀감, 성지식의 효과를 검증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시와 P시에 위치한 2개의 노인복지관련기관에 등록되어있는 65세 이상 노년기 부부로서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부부 실험군 10쌍, 대조군 11쌍이다. 프로그램은 실험군만 8주 동안 주 1회 매회 120분씩 수행하였다. 각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사후 자가 보고식 설문지 검사를 하였고 자료는 SPSS 21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검정, Sapiro-Wilk test, t-test, ANCOVA,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동질성과 결혼만족도, 부부 의사소통, 성친밀감, 성지식의 사전점수에 대한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실험군 남자 74.2(±4.54)세, 여성 71.7(±7.18)세이고, 대조군 남자 75.2(±3.28)세, 여성 71.2(±2.92)세이다. 결혼기간은 실험군이 평균 47.8(±5.82)년, 대조군 평균 47.4(±4.62)년이고, 주거형태는 실험군 부부 9쌍, 대조군 부부 9쌍이 부부 두 명만 거주하였다. 남성 대상자 70% 이상, 여성 60%이상이 보통 이상의 건강상태를, 실험군 부부 7쌍, 대조군 부부 8쌍이 항상 같은 방을 사용하며, 실험군 부부 9쌍, 대조군 부부 6쌍이 생활비로 100만원 이상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프로그램 적용 후 사후검사에 대한 공변량 분석 결과 부부의 결혼만족도(F=30.34, p<.001), 부부 의사소통(F=24.26, p<.001), 성친밀감(F=49.73, p<.001), 성지식(F=34.09, p<.001)은 실험군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남성노인의 결혼만족도(F=10.34, p=.005), 부부 의사소통(F=22.25, p<.001), 성친밀감(F=25.19, p<.001), 성지식(F=16.04, p=.001)은 실험군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다. 여성노인은 결혼만족도(F=19.91, p<.001), 부부 의사소통(F=7.37, p=.014), 성지식(F=17.57, p=.001)은 실험군 대조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이 지지되었으나, 성친밀감은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사전 사후검사 점수는 9.7점의 차이가 있었으나 두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Z=36.50, p=.192)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본 연구의 노년기 부부 관계강화 프로그램은 노년기 부부와 남성 노인의 결혼만족도, 부부 의사소통, 성친밀감, 성지식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고, 여성노인은 성친밀감을 제외하고 결혼만족도, 부부 의사소통, 성지식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가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건강 전문가로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리더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임상 중심의 간호사 역할에서 지역사회 간호사의 역할을 확대하여 노인건강의 안녕에 도움을 주고, 추후 노년기 부부 관련 후속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노년기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의미를 두었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노년기 부부, 관계강화 프로그램, 결혼만족도, 부부 의사소통, 성과 건강 교육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07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