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6 0

2015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 네트워크 분석

Title
2015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 네트워크 분석
Other Title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uthor
박인혜
Alternative Author(s)
Park, In Hye
Advisor(s)
안성호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해 초·중등학교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분석 기준으로는 영역, 내용, 기능을 설정하였고 해당 프레임을 가지고 성취기준의 구성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의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에 2015 영어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표를 바탕으로 영역, 내용, 기능을 대범주로 한 분석 프레임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문서의 성취기준에 진술된 문장을 명사, 동사, 형용사만 남기고 의미를 가지지 않는 조사나 접속사는 제거해 분석에 사용될 자료를 만들었다. 자료의 단어들을 문장 단위로 분석 프레임에 따라 코딩한 뒤 Krtitle 프로그램을 사용해 문장 안에서 단어들의 동시출현관계를 보여주는 공출현 매트릭스를 생성하였다. 공출현 매트릭스를 가지고 UCINET6 프로그램을 사용해 중심성 분석을 하고, NetDraw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 지도를 시각화하였다. 이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부분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읽기 영역에 있어서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성취기준 읽기 영역에서 분석지표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급이 바뀔 때 학생들이 적응의 어려움을 겪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말하기 영역은 성취기준 수에 있어서 보완이 된 것처럼 보이나, 의미 네트워크 분석 결과 중등학교 말하기 영역의 매개중심성이 낮은 값을 가지는 것을 통해 말하기가 특정 프레임들과 제한적으로만 사용된다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내용 부분에 있어서는 초등학교는 어휘, 어구, 문장이, 중등학교는 세부정보가 핵심 프레임으로 나타났다. 영어 내용 성취기준이 어휘, 어구, 문장 단위로 소통할 수 있는 수준에서 세부 정보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점진적인 순서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 연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능 부분에서는 초등학교에서는 모방하기, 식별하기가 중등학교에서는 추론하기가 중요한 프레임으로 나타나 학습자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수준별로 연계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두 학교급 모두에서 파악하기 기능이 가장 높은 분석지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수행 중심 교과인 영어 교과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competency)이 파악하기라는 말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처럼 보인다. 이는 언어 기능(skill)별로 나눈 영역과 기능(competency) 간의 의미가 겹치는 부분이 있어 발생하는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겠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다양한 영역, 내용, 기능과 연계한 중등학교의 말하기 영역 성취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읽기 영역에 있어서 초·중등학급별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영어과 내용 체계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해 재검토를 제안하는 바이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02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08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ENGLISH EDUCATION(영어교육전공) >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