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9 0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순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Title
초현실주의를 활용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순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 of Emotional Refinement for Maladjusted Students using Surrealism : Focu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
이준용
Alternative Author(s)
Lee, Jun Yong
Advisor(s)
이부연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이다. 급속한 변화속도 만큼이나 정보의 전파속도 또한 빠르며 이를 제대로 받아들일 새도 없이 정보는 변형되고 조작되며 공유되고 처리되어 버린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과는 대조적으로 사람들의 정서는 점점 침체되고 고립되어 가고 있다. 이렇듯 현대사회는 속도차이의 간극으로 인한 인간소외현상, 정서심리의 황폐화 등의 다양한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정서심리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학교 부적응의 문제를 미술교육의 치유적인 기능을 활용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즉, 학교 부적응 학생들의 정서순화를 위해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하여 이를 정규 중학교 미술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정서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고의 전환 및 정서의 함양이 이루어져 학교와 사회에 잘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첫째, 학생들이 정서심리적인 문제로 인해 학교 부적응을 호소하고 이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는 사태에까지 이르게 된 부적응의 원인과 부적응 학생들의 특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 가정, 사회 등의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 부적응 학생과 미술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미술활동은 학생들의 무의식이 자연스럽게 표출되도록 하여 그 자체로 치유적인 효과를 주며 정서순화와 자아의 발견, 올바른 자기 가치관의 확립을 통해 학교와 사회에 통합되어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즉, 미술교육이 학교 부적응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교육 및 미술활동이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이 왜 정서순화에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초현실주의의 표현기법과 발상방법은 프로이드 정신분석학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 개념을 응용하여 의식하거나 의도하지 않고 무의식의 세계를 무의식적인 상태로 대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대로 기록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작업한 결과물을 통해서 내면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미술수업은 학생의 정서순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개개인의 내적인 갈등을 조정함과 동시에 의사소통 및 자기표현, 정서순화 등으로 자아의 성장을 돕는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발달의 부조화 상태인 부적응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 부적응 학생 대상의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정서순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2주간의 6차시에 걸친 지도계획 및 수업지도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현장 적용에 주안점을 두었다. 단원을 살펴보기 위해 6종의 교과서를 조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데페이즈망과 콜라주기법을 활용한 ‘미래의 나의 꿈 표현하기’ 수업, 프로타주 기법을 활용한 ‘소원나무 만들기’ 수업, 데칼코마니 기법을 활용한 ‘내 마음속 표현하기’ 수업의 지도계획과 예시작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부적응 학생의 정서순화를 위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활용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기대효과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이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심리적 결핍을 보완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정서순화 및 정서함양, 자아의 발견,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능력 개선 등의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었다. 즉, 학교 부적응 학생들이 학교와 사회의 규범에 잘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확인하였다.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300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6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