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동영-
dc.contributor.author박수진-
dc.date.accessioned2017-11-29T02:28:14Z-
dc.date.available2017-11-29T02:28:14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2999-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196en_US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강조되고 있는 자기주도적인 활동중심의 교육은 기존의 교사 주도로 이루어지는 지식전달 중심의 수동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탈피하고자 지향하고 있는 교육의 움직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도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다양한 지식을 조화롭게 구성하여 스스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인재상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과 주변세계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연극의 방법론을 미술 감상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실천적 활동중심의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과 가치에 빗대어 작품을 이해하고 느끼며 해석할 수 있는 내면화 능력을 강화시키고 더 나아가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교류를 강화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감상 방법을 자기화할 수 있게 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방법은, 우선 선행 연구를 통해 교육 연극의 개념과 교육연극의 방법론적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내면화에 의미에 대해 탐구하고 중학생 시기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내면화에 있어 교육연극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술 감상의 개념과 방법을 고찰하여 미술 감상교육이 가지는 내면화의 교육적 가치를 규명하고 보다 효과적인 내면화를 위해 미술 감상 방법에 있어 연극의 방법론 활용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실질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재 사용되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 감상영역을 살펴보고 학습자 중심의 직관적이고 실천적인 감상교육의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교육적 연극(DIE)의 특징과 내면화 미술 감상 모형을 재구성하여 학습자의 직관과 경험에 연관한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계획하였으며 학습자가 감상의 주체가 되어 자신만의 판단 기준으로 작품의 이해와 해석을 이끌어 나아가는 수업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연극을 활용한 미술감상 프로그램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직관과 경험과 연관하여 작품을 진심으로 느끼고 미적요소를 이해하고 작품 속에 내재된 주제적 이야기를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모둠 구성원들과 함께 하나의 연극을 만들어감으로써 자신이 맡은 바에 대한 책임의식을 함양하고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배려하는 인격을 함양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스스로의 연극 활동에 대한 동료와 교사의 조언을 통해 자신의 감상 활동에 대해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보다 발전된 자신만의 미술감상 방법과 가치관을 내면화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면화 강화를 위한 교육연극 방법론을 적용한 미술 감상 프로그램은 나날이 다양해지고 새로워지는 미술작품의 흐름 속에서 개인적 차원에서의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감상에서 더 나아가 미술 작품에 본인의 감성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연결하여 자신만의 미적 가치관을 내면화 하게 하는 실천적인 교수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교육연극을 활용한 내면화 강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Internalization : Focusing on the Appreciation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y Using Educational Theat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수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oo Ji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미술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