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2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호-
dc.contributor.author이민주-
dc.date.accessioned2017-11-29T02:28:12Z-
dc.date.available2017-11-29T02:28:12Z-
dc.date.issued2017-08-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32997-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223en_US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기형도 시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로 ‘직유’를 꼽는 관점에 주목하여 기형도의 전체 시에 나타난 직유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유 연구에서 은유에 비해 도외시되었던 직유의 풍부한 함의를 밝혀냄과 더불어 기형도의 시에 드러난 시인의 미학적 태도를 재인식하고자 하였다. 수사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하는 기존의 이론에서 직유는 ‘명유(明喩)’로 일컬어진다. 이는 직유의 가장 큰 특성을 명징성(明澂性)으로 보는 시각과 맥을 같이한다. 그러나 직유가 과연 무엇을 분명하고 명징하게 드러내는지에 대한 고찰은 부족하다. 본고는 은유를 ‘암유(暗喩)’와 동의어로 보고, 그 반대편에 직유를 놓은 전통 수사학의 이분법적 태도가 이러한 문제를 낳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수사학적 접근 아래 직유와 은유의 차이는 단순히 형태적인 것이 된다. 따라서 직유는 은유에 비해 덜 함축적이고, 더 길고, 덜 시적인 표현으로 평가 절하되어 왔다. 그러나 직유와 은유의 구별에는 형식적 조건뿐만 아니라 의미적 측면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이 의미적 측면은 기존의 수사학적 접근에서 한발 더 나아간 ‘인지적 접근’에 기반을 두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명확성보다 암시성이 더 강한 직유, 단순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확장 가능성을 가진 직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기형도의 시를 텍스트 삼아 이러한 직유의 여러 예들을 분석하였으며, 직유 표시어(비유사)는 있으나 명징성은 낮은 비유 구문이 ‘낯설게 하기’의 일환으로 시에 삽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기존의 직유 이론과 새로 연구되고 있는 직유의 접근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발판삼아 직유 표현의 생성에 시인의 어떤 인지 작용이 관여하였는지를 살피고, 이것이 독자의 인지 과정에 어떻게 수용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비유 구문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새로운 매트릭스(matrix)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기형도의 시에 나타난 직유의 양상을 인지적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유사성과 이질성의 긴장 상태 및 유사성의 인지 양상과 더불어, 직유 표현의 개별적 속성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형도 시에 나타난 직유는 유사성보다 차이성이 두드러지며, 명징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이 다수임을 확인하였다. 기형도의 시에 사용된 직유는 일차원적으로 쉽게 지각 가능한 속성에 기반을 두고 만들어진 경우가 적다. 특히 시 전체를 이끄는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은유와 상호작용하는 직유, 연상적 이미지나 인접성이 기반이 된 환유를 바탕으로 하는 직유가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직유는 이러한 시적 표현을 구체화하는 데 기여하여 독자가 시인의 세계관을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본고에서는 기형도의 직유에 인지적으로 접근하여 별개 영역의 대상에서 유사성과 인접성, 차이성을 파악해 내는 시인의 날카로운 감각을 논의하였다. 나아가 묘사의 기능에 그치지 않고, 의도적으로 사용되어 특유의 서사적 구성으로 발전되는 풍부한 직유를 기형도의 시적 특징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기형도 시에 나타난 직유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imile of Ki Hyungdo's Poems: Focused on Cognitive Perspectiv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민주-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injo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교육대학원-
dc.sector.department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전공) >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