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3 0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on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Author
이윤희
Alternative Author(s)
Lee, Yun Hee
Advisor(s)
권기창, 김한성
Issue Date
2017-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국 문 요 지 원만한 사회관계는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행복을 누리는 조건이자 근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들은 직장에서의 은퇴와 사회와의 단절로 인해 심리적,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고독하고 불행한 노후를 보내는 경우가 많다. 노인들은 경제적 문제, 심리적 불안, 상실감 확대 등이 커지는 반면, 이를 보듬어 줄 사회안전망이 미흡하여 여타의 노인문제와 더불어 노인의 사회관계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관계의 단절로 인한 고독사 위험군인 노인이 30만 명으로 추산되고, 실제 고독사하는 노인이 매년 1,000명을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들의 사회관계는 주로 배우자, 자녀, 친구, 이웃 및 지역사회와 형성되며, 그 중 가족이 8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노인들은 가족 이외에 스스로 사회관계를 시작할 동기나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어 사회관계 증진에 어려움을 갖는다. 노인들은 정신 및 신체 쇠약과 더불어 경제적 부담으로 말미암아 사회관계가 침체되고 활력을 잃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길어진 노년기를 심리적이나 신체적으로 건강하게 보낼 수 있으려면 사회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노인의 사회관계는 생활과정에서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노인들을 적극적으로 사회관계에 참여시키려는 사회의 노력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노인의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갖는 여러 효과 가운데 사회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그 영향을 살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첫째, 노인들의 여가프로그램의 참여에 촉진적 요소와 제약적 요소로는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하는가? 둘째, 노인들의 여가프로그램의 참여가 사회관계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수행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논의를 체계화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다. 특히 실증연구는 노인복지시설 여가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참여행태에 대한 집단간 차이분석과 참여와 사회관계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의 사회관계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미 프로그램에 참여할 정도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특히 남자 노인이, 그리고 연령이 적은 노인일수록, 중졸인 노인, 월평균 용돈이 많은 노인, 부부와 자녀 및 손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그리고 건강한 노인일수록 다른 노인들보다 사회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동기 중 내재적 동기와 자기결정적 외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적극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프로그램 참여 자체에 대해 즐거움과 재미, 만족을 얻는 것과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사람과의 만남, 건강 유지 등 가치 있거나 개인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기에 참여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한편, 내재적 참여 제약과 대인적 참여 제약이 높을수록 여가활동 참여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즉 스트레스나 불안 등 개인적인 심리 상태나 특성으로 인해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제한 받으며, 가족구성원이나 친구, 동료들과의 관계에서 참여를 제한받는다는 것이다. 셋째, 노인들이 여가활동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여가활동에 적극성을 띄고 참여할수록 사회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으며 결정적인 사회관계의 요인으로는 참여의 적극성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여가활동에 활발하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인일수록 사회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적극성은 사회관계의 모든 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노인들이 일반적으로 사회관계의 축소 및 단절을 경험하고 있지만 여가활동에 대한 참여시간을 늘리고 적극적인 여가프로그램 참여를 통해서 사회관계의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야 한다는 것을 함의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첫째, 노인의 사회관계 즉,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여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사회참여 활동, 자기개발 활동, 가정내 활동)에 맞는 맞춤형 여가프로그램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노인들의 개인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필요하며, 이를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 개발과 함께 전문가를 양성하여 맞춤형 여가프로그램에의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여가프로그램 참여가 사회관계에 영향을 주며, 기본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준비해나가야 할 것인가를 알게 되었으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지는 못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한 사회관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노인복지, 여가프로그램, 사회관계, 참여 및 제약요인; ABSTRACT The Effect of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on Soci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Lee, Yun H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n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Good social relationships are pretty crucial for human life and one of conditions and sources of happiness. However, elderly people are often in psychological or emotional difficulty or lead a solitary and unhappy life due to retirement and disconnection from society. Their economic hardship, psychological anxiety and sense of loss are increasingly compounded, but there aren't proper social safety networks geared toward them,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one of problems with the elderly that are serious social issues.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who are at risk of solitary death because of severed social relationships is estimated to reach three hundred thousand, and more than 1,000 senior citizens have died alone every year. Elderly people mostly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children, friends, neighbors and local communities, and families account for 80 percent of those with whom they connect. The majority of them face difficulty in promoting social relationships as they are little motivated to start new social relationships or have few chances to do that. Studie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uilding of senior citizens is at a standstill because of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and financial burden. But good social relationship building is quite important to stay healthy psychologically or mentally in extended old age. And that doesn't take place automatically. That is possible when there are dynamic social efforts to encourage senior citizens to connect with other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leisure programs on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leisure programs can produce various effects, and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how it affected social relationship building.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facilitating factors for and barriers to elderly people's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ir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hips? Literature analysis and empirical research were both carried out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Rela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to put theoretical discussions in order, and an empirical research was implement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s for the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selected senior citizens who took part in leisure programs at senior welfare centers. Whether there were any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form of participa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on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any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senior citizens were good on the whole. This finding seems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senior citizens investigated could afford to take part in leisure programs. The respondents who were less old, who were middle school graduates, whose monthly mean allowances were larger,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adult children or grandchildren under the same roof and who were in better health were ahead of their counterparts in that regard. Second, as for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the elderly people who were more driven by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nt extrinsic motivation more actively engaged in leisur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them to take part in leisure programs when they found it joyful, fun or satisfactory to do that and when they decided that it was of value for relationship building or health maintenance or that it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get what they wanted. On the other hand, more intrinsic barriers and more interpersonal barriers led to les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Namely, personal psychological state or traits such as stress and anxiety refrained them from taking part in leisure program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families, friends or peers also kept them from doing it. Third, the social relationships of the senior citizens were better when they spent more time engag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when they did that more actively. It implies that active particip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tial and decisive factor of social relationship.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senior citizens who took part in leisure activities more actively had better social relationships. In particular, initiative exerted the largest influence on every factor of social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lthough elderly people's social relationships are typically scaled down or severed, they should engage in leisure activities or programs for more time and more actively to improve their social relationships. The first step to make it happen is to develop leisure programs tailored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namely personal traits, in consideration of their social relationship networks (activ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self-help or family). Next, the kind of instruments that measure their personal traits is necessary.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nstruments, experts should be nurtured to encourage elderly people to take part in customized leisure programs. So far, this study found that leisure program participation affected social relationships, and it also found in which direction elderly people's leisure lives and social relationship building should be led, but no specific programs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sound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s for the elderly. Key words: welfare for the elderly, leisure program, social relationship, factor of participation, barrier.
URI
http://hdl.handle.net/20.500.11754/3289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14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