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02 | 팀리더의 코칭행동이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이재경 |
2020-02 | 중장년 은퇴진로준비행동과 은퇴불안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성별의 조절효과 | 원병수 |
2020-02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 입국 경험과 진로 준비에 관한 연구 | 이은혜 |
2020-02 | 직장인의 성인애착과 조직몰입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매개효과 | 김나래 |
2020-02 | 정신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 김경빈 |
2020-02 | 진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Big5 성격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이윤희 |
2020-02 | 통합예술치료가 노년기 비장애 자매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단일사례 연구 | 마지인 |
2020-02 | 직무 스트레스가 직장인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관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채현 |
2020-02 | 신혼기 부부의 분리-개별화와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문화적 자기관의 매개효과 | 류단비 |
2020-02 | 이별 경험 대학생을 위한 교류분석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이별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 김규원 |
2020-02 |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의 관계: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유경미 |
2020-02 | 정서 억제 성향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매개효과 | 양은혜 |
2020-02 |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어머니와 중학생 자녀의 지각차이가 자녀의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으로 | 조지원 |
2020-02 | 시각장애 청소년을 둔 어머니의 삶의 경험에 대한 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하여. | 전은지 |
2020-02 | 자기애의 핵심 특성과 표현 차이에 관한 메타 분석 | 박창현 |
2020-02 | 상담자의 자기분화와 역전이 관리능력의 관계: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 조민경 |
2020-02 | 상담자의 완벽주의와 상담자 소진간의 관계: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 민병찬 |
2020-02 | 보육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 만다라 기법을 중심으로 | 이은영 |
2020-02 | 상담 훈련 과정에서 경험한 중년기혼여성 상담자의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 | 이명진 |
2020-02 | 미혼성인남녀의 자아분화 수준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 이혜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