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환경에서의 IP 전환에 관한 연구 | 풍우청 |
2023 | 중국 애니메이션에서 전통의 재창조 연구 | 륭운비 |
2023 | 시트콤 <맘(Mom)>에 나타난 서사 초점의 변화 연구 | 뢰결몽 |
2023 | 북한인권영화 제작 연구 | 김윤희 |
2023 | 토드 필립스의 <조커>에 나타난 자본주의 양극화 연구 | 최명호 |
2023 | 한중영화에서 억압된 여성상 비교연구 | 진성 |
2023 | 일본 개그의 ˂개그 7세대˃ 수용 양상과 의미 —페코파, 엑시트, 미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효설 |
2023 | 지아장커 영화의 주변화된 인물 연구 | 조예진 |
2023 | 중국 베이퍄오 현상 분석 - 중국 드라마 ˂나는 타향에서 잘 지내(我在他乡挺好的)˃ 를 중심으로 | 임용운 |
202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에 관한 연구 - 5번째 확장팩 <판다리아의 안개(Mists of Pandaria/2012>를 중심으로 | 왕시임 |
2023 | 관찰형 리얼리티 프로그램 서사방식의 공감 연구 ----'살림남'을 중심으로 | 양류 |
2023 | 시간이동 드라마의 서사구조와 시간관에 대한 비교 분석 | 란신 |
2022 | <삼진그룹 영어토익반>에 나타난 여성성 재현 양상 | 범성희 |
2022 | 한국과 중국의 사회현실 비판 영화의 비교 연구 | 주동 |
2022 | 드라마에 나타난 청소년범죄 재현 의미 연구 | 심지수 |
2022 |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서사공간 연구 | 주경월 |
2022 | 불교의 업(業)과 윤회론에 대한 영화적 재현영상에 대한 비교연구-˂삼사라˃, ˂애유내생˃, ˂화엄경˃을 중심으로- | 조민우 |
2022 | 한중 누아르 영화의 비교 연구 | 양쯔위 |
2022 | 『서유기』와 <대화서유> 비교 연구: 개혁개방 이후 중국 사회의 하위문화와 반영웅 형상 | 마심영 |
2021 | 개혁 개방 이후의 중국의 사랑: 드라마 <겨우, 서른>에 재현된 사랑과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 | 만흠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