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4 0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Title
이옥(李鈺)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와 그 의미
Other Titles
The Ecological Writing and It’s Meaning in Ee Ok’s literature
Author
박수밀
Keywords
생태 글쓰기; 이옥; 생태; 반복과 열거; 의인화; 박지원; ecological writing; Ee Ok; ecology; repetition and enumeration; personification; Park Ji-Won
Issue Date
2016-01
Publisher
우리어문학회
Citation
우리어문연구, v. 54, Page. 325-356
Abstract
본고는 문무자(文無子) 이옥(李鈺, 1760-1815)의 작품에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한 것이다. 먼저 생태 글쓰기의 개념을 점검하고이옥에게서 생태 글쓰기를 살피려는 근거를 알아보았다. 이옥은, 작가는 의지적주체가 아니며 천지만물이 작가를 빌려 글을 쓰게 하는 것이라 한다. 그리하여이옥의 문학에 나타난 생태 글쓰기의 양상을 셋으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이옥은만물은 제각기 모두 다르고 각자의 방식대로 살아간다고 한다. 이옥의 글에 흔히보이는 반복과 열거 표현은 모든 존재가 가치 있고 동등하게 관심 받아야 한다는이옥의 생태적 세계관을 반영한 글쓰기이다. 둘째 이옥은 벌레의 존재성을 통해인간의 모습을 투영한다. 이옥은 인간과 벌레를 같은 종(種)으로 바라보아 모든존재는 동일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벌레의 생태에서 인간의모습을 병치시키고 인간의 내면을 성찰케 하는 글쓰기를 수행한다. 셋째, 이옥은사물의 입장으로 돌아가 사물의 입을 빌려 이야기하는 의인화 방법을 쓴다. 본래의인체 산문은 사대부들의 지적인 교양을 과시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옥은사물의 본질을 담아내기 위해 의인화를 활용했다. 다음으로, 연암 박지원과의비교를 통해 이옥의 생태 글쓰기가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옥과 연암은 사물을 대하고 바라보는 시선이 유사했다. 둘은 쓸모없다고 배척했던 존재에게 더 관심을갖고 이들을 배움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둘은 차이가 있었다. 연암의 생태글쓰기가 인간과 사회를 교정하고 개선하는데 있다면 이옥의 생태 글쓰기는 사물자체가 갖는 아름다움, 사물의 생태적 특성에 의미를 두었다. 그런 점에서 이옥은고전문학사에서 특별하게 심미성을 지향한 작가라 하겠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Ee Ok’s works, and to find its meaning. First of all, it reviews the concept of ecological writing, and researches for the basis to investigate into his ecological writing. It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of ecological writing in his literature. Firstly, EeOk considered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are different and survive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ways. The way of repetition and enumeration expression in his writings proves that all existence is valuable and worthy of deep concern as his ecological point of view. Secondly, he reflected a feature of human being through the existence of insect. He considered human and insect as the same species keeping the same attribute. So he placed the ecology of insect and the features of human in juxtaposition, carried out his own writing to introspect human inner world. Thirdly, Ee Ok stands on the position of things and talked as they talk in their position in a way of personification. Basically the prose of personification had been a way of representing intellectual refinement of noble men. But Ee Ok’s personification was to include the nature of things. After all, this study searches for the meaning of Ee Ok’s ecological writing, comparing with Yeon Am, Park Ji-Won’s ecological writing. Ee Ok and Yeon Am have similar point of view toward and about things themselves. Both have deep concern and interest in the things considered as worthless by others, took them as the objects for learning. But there is different point. Yeon Am’secological writing tended to rebuild and develop human and society, but Ee Ok’s ecological writing found the meaning on beauty of things themselves and on their ecological features. In this sense, Ee Ok is an aesthetic writer in a specific position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istory.
URI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407340http://hdl.handle.net/20.500.11754/30317
ISSN
1226-7341
DOI
10.15711/05412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