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2 0

국어교육과 문화의 계승과 창달

Title
국어교육과 문화의 계승과 창달
Other Titles
Korean Education for Culture Creative Inheritance
Author
이삼형
Keywords
국어교육; 문화교육; 문화 공동체; 비판적 사고; 문화 창조;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cultural community; critical thinking; cultural creation
Issue Date
2015-12
Publisher
국어교육학회
Citation
국어교육학연구, v. 50, NO 4, Page. 369-393
Abstract
본고의 목적은 현재 국어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화론적 관점의 실상을 들여다보고,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문화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은 학습자가 국어문화를 창조하는 주체로 성장하게 하는 목표로 설정해 왔다. 그러나 그간 문화 계승과 창달과 관련된 논의는 문학 영역 중심으로 주로 논의되었기 때문에 학습자가 문화를 계승하고 창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문화를 계승하고 창달하게 한다는 목표는 수행을 통해 가능한 목표이기 때문에, 사고와 소통을 다루는 이해·표현 영역을 포함하여 국어과의 각 영역을 통해 총체적으로 접근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문화교육을 위해 실체 중심의 교육관을 전환하여 수행 중심의 교육관으로 나아가야 함을 역설하였다. 학습자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 내용은 학습자들의 깊이 있는 이해와 창조적 재해석 활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교수 방법으로 탐구와, 내용, 문체, 사고 체계 등을 계승하여 창조에 활용하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take a look into the real state of the culture theory viewpoint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current Korean-language education and to seek the direction in which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the successions and the developments of the culture should advance. So we are emphasized that the cultural education must stand up throughout the whole, which is comprised of each of the domains, of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by disclosing the personality of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as a cultural education from the essential and instrumental personality of the Korean language. Also, regarding the direction for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for the cultural successions and developments, the following were proposed: Firstly, the formation of a cultural community by accommodating the valuable culture; Secondly,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phenomena by utilizing the critical ways of thinking; And, thirdly, the possibility of the setting up for the utilization of the language culture as a resource for the cultural creations. Or,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time point at which the general approach by considering the cultural education centered on the ways of thinking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s is need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Korean-language education, which is said to be the independent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he culture by the learner.
URI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379306http://hdl.handle.net/20.500.11754/30049
ISSN
1225-857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