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3 0

텍스트 기반 개념학습에서 맥락적 정보가 학습 효율성, 개념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필기기법과의 상관관계 연구

Title
텍스트 기반 개념학습에서 맥락적 정보가 학습 효율성, 개념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필기기법과의 상관관계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Concept Learning on Learning Efficiency, Application of Concep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Note-taking Techniques
Author
김동식
Keywords
개념학습; 맥락적 정보; 학습효율성; 필기기법; concept learning; contextual information; learning efficiency; note-taking techniques
Issue Date
2015-12
Publisher
한국교육공학회
Citation
교육공학연구, v. 31, NO 4, Page. 835-868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기반의 개념학습에서 맥락적 정보 제공 수준이 학습효율성, 개념적용에 미치는 영향과 필기기법이 두 종속변인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H 대학교 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념학습으로 주어진 텍스트 자료는 멀티미디어 설계 원리에 관한 것이었으며, 집단은 맥락적 정보 수준에 따라 상(HC), 하(LC)로 구분하였다. 맥락적 정보 제공 수준에 따른 집단 간 학습효율성과 개념적용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 다음의 과제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는 개념에 대한 정의적 정보(definitional information)를 확인하는 과제로, 성취 수준과 학습 소요 시간을 토대로 학습효율성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집단의 학습 성취 수준은 유사한 반면, HC 집단이 LC 집단보다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영향으로 HC 집단의 학습효율성은 LC 집단보다 낮았다. 이는 정의적 정보 확인 과제에서 많은 양의 맥락적 정보 제공이 오히려 개념학습의 학습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 과제는 학습한 개념을 활용하여 실제 멀티미디어 설계 사례의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는 개념적용 과제였으며, 연구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맥락적 정보 제공으로 인한 텍스트 구조의 명확성 저해, 의미 거리 증가 등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선택적 필기기법과 구성적 필기기법을 범주로 두 집단의 필기기법을 분석하였으며, 필기기법 사용 정도와 학습효율성, 개념적용 과제 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HC 집단에서만 필기기법 사용 정도가 학습효율성과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대한 세부 관찰, 필기기법에 대한 질적 분석 등 향후 연구를 통한 보완이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different amount of contextual information in text-based concept learning on two different types of tasks, a definition-identifying task(DIT) and concept application task(CAT), and their correlation with note-taking techniques. 4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treatment condition(low or high contextual information in text). For the DI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time were measured, which was used for measurement of learning efficiency. The main tasks of the CAT were to identify applie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in the instructional samples and to suggest additional design rul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efficiency between two groups was found, primarily due to difference in learning time, which indicates that high contextual information is likely to hinder learners`` involvement in solving the DIT. Unlike our hypothesi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CAT. For analysis of note-taking techniques, selective and generative aspects were used as the coding categories. Our result, a correlation of learning efficiency of DIT and learning achievement of CAT, and the usage of note-taking techniques,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nly correlated with the usage of note-taking techniques in the learning efficiency. This implies that students tend to take an active role in processing high contextual information by using various note-taking techniques.
URI
http://www.kset.or.kr/sub.php?code=02_soci010601&mode=view&no=482&category=0&page=1&search=&keyword=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396714http://hdl.handle.net/20.500.11754/29369
ISSN
1225-424X
DOI
10.17232/KSET.31.4.83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