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5 0

부인암 환자의 우울, 가족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인암 환자의 우울, 가족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Depression,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Author
유은광
Keywords
depression; family support; resilience
Issue Date
2015-11
Publisher
한국웰니스학회
Citation
한국웰니스학회, v. 10, NO 4, Page. 183-195
Abstract
본 연구는 부인암 환자의 우울, 가족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여 부인암 환자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H 대학병원에서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자궁체부암, 난소암, 질암을 진단 받고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외래나 입원치료를받는 부인암 환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Zung(1965)의 자가보고형 우울도구(Self-Rating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으며 가족의 지지 정도는 강현숙(1984)이 개발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최은정(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는 Conner와 Davidson에 의해 2003년 개발된 Conner- 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을 백현숙 등(2010) 이 번안하여 타당화한 Korean Version Connor- Davidson Resilience Scal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인암 환자의 우울은 직업 유무(p=.033)와 취미(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가족지지는 직업(p=.027)과 가족 형태(p=.013), 현재 도움을 주는 사람(p=.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복탄력성은 취미 활동 유무(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부인암 환자의 우울, 가족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상관관계는 우울과 회복탄력성(r=-.43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상관관계가 있었고 가족지지와 회복탄력성(r=.37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과 가족지지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우울을 완화하는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치료 계획에 배우자과 가족을 포함시켜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할 수 있는 가족지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and its effects on resilienc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resilience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Participants were 110 in and outpatients of H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ho had diagnosed cervix, endometrial, ovarian and/or vaginal cancer and had experienced operation, chemotherapy and/or radiotherapy. Self-Rating Depression Scale(Zung,1965), Family Support Scale(choi,2009; Kang,1984) and Conne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Baeck et al,2010; Conner et al,2003) were used. As the result, the depression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existence of occupation(p=.033) and hobby(p<.001). The family support was different by occupation(p=.027), family type(p=.013) and helpful person(p=.015). The resilience was different by existence of hobby(p<.001). The depression and the resilience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r=-.436, p<.001) and the family support and the resili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r=.376, p<.001).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ilience. Therefore, to improve resilience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providing interventions to reduce depression and making spouses and family members participate are important.
URI
http://www.dbpia.co.kr/Article/NODE06602345http://hdl.handle.net/20.500.11754/28542
ISSN
1975-405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URSING[S](간호학부) > NURSING(간호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