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도흠-
dc.date.accessioned2017-05-11T23:49:14Z-
dc.date.available2017-05-11T23:49:14Z-
dc.date.issued2015-09-
dc.identifier.citation日本學硏究(일본학연구), v. 46, Page. 9-35en_US
dc.identifier.issn1598-737X-
dc.identifier.issn2465-8448-
dc.identifier.urihttp://journal.dkjapan.or.kr/read.php?pageGubun=&pageNm=article&search=&journal=%EF%BF%BD%EF%BF%BD46%EF%BF%BD%EF%BF%BD&code=254245&issue=19146&Page=1&year=2015&searchType=all&searchValue=-
dc.identifier.urihttp://hdl.handle.net/20.500.11754/27277-
dc.description.abstract삼국유사에 나타난 세계관을 풍류도(風流道), 풍류만다라(風流曼茶羅), 화엄정토만다라(華嚴淨土曼茶羅), 분열기(分裂期)로 나누고, 이에 따라 어떻게 공간과 시간이 변하고, 주체와 대상이 이 시공간에서 은유(metaphor)와 환유(metonymy)의 의미를 만들고 이계와 이물과 접촉하면서 비일상성을 형성하는 지, 그 원리와 양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풍류도 시대는 신라 건국부터 불교 공인 이전까지로 이 세계관의 작동원리는 샤먼을 통한 제재초복(除災招福)이며, 시간은 순환적이어서 타계에서 와서 생을 살다가 다시 타계로 돌아간다고 생각하였다. 이계는 천상계, 해수계, 지하계가 있으며, 이와 지상계의 메신저인 새, 용, 거북 등이 이물로 등장한다. 인간이 이물이나 이계와 접촉하는 궁극적 목적은 ‘지금 여기 현실’에서 재앙을 없애고 복을 불러와 삶의 평형과 전일(全一)을 이루고자 함이다. 풍류만다라시대는 불교 공인 이후부터 통일 이전까지로 이 세계관의 작동원리는 샤먼과 승려의 혼합적 인물인 사(師)의 중개를 통하여 연기와 업의 원리에 따라 죄업을 멸하고 복을 닦고자 함이다. 시간은 업과 연기에 따라 윤회하며, 이계는 도솔천, 도리천, 서방정토, 기존의 천상계와 해수계였다. 이물은 대부분 부처의 화신이고, 가끔 용이나 새도 나타난다. 인간이 이물이나 이계와 접촉하는 궁극적 목적은 지금 여기에서 죄업을 소멸시키고 복을 닦아 행복하게 살고자 함이다. 화엄정토만다라 시대는 통일이후부터 혜공왕(惠恭王)대까지로 이 세계관의 작동원리는 상즉상입(相卽相入)의 화엄연기론(華嚴緣起論)에 따라 해탈을 이루려는 것이다. 시간은 상즉상입하여 한 순간이 무한한 시간과 원융(圓融)한다고 보았다. 이계는 극락정토, 그 중에서도 연화장이다. 이물은 극락정토와 연화장으로 이끄는 부처의 화신이다. 인간이 이물 및 이계와 접촉하는 궁극 목적은 연화장에서 왕생(往生)하는 것이다. I classified all narratives in Samkuk-yusa, the History and tales of the Three Kingdoms as four categories according to World-view: Pungryu-do, Pungryu-mandala, Hwayen- Jungto-mandala. Then, I studied how subjects in Samkuk-yusa texts create meanings of metaphor or metonymy and form non-everydayness while meeting the other world and an alien substance or a foreign body. In the age of Pungryu-do, from B.C.57(The establishing of the Shilla dynasty) to A.D.567(The official approval of Buddhism in the Shilla dynasty), the Shillararian think that they return to the other world after death. There are three other worlds: the celestial world, the marine world, netherworld. The time is circulated. The alien substances are a bird, a dragon, a turtle etc. The alien substances function as the messenger between earthly life and the other world. The Shillararian ultimate purpose is to reach after happiness in not afterlife but ‘Now and here’ while keeping off a misfortune by the intermediation of a Shaman. In the age of Pungryu--mandala, from A.D.567 to 676(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the Shillararian think that all living beings are trapped in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The other world is the western paradise. The alien substances are avatars of Buddha. The avatar is a messenger between earthly life and western paradise. The Shillararian ultimate purpose is to reach after happiness in ‘Now and here’ while extinguishing sins through the principles of dependant origination and karma. In the age of Hwayen-Jungto-mandala, from 676 to 780(the end of middle age of the Shilla dynasty), the Shillararian think that all things in nature are mutually arisen, entered, depended. The other world is paradise and yeonhwa-jang, the final stage of a paradise. The alien substances are avatars of Buddha. The avatar is a messenger between earthly life and yeonhwa-jang. The Shillararian ultimate purpose is to reincarnate in yeonhwajang while extinguishing sins through the principles of dependant origination and karma.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en_US
dc.subject삼국유사en_US
dc.subject풍류도en_US
dc.subject풍류만다라en_US
dc.subject화엄정토만다라en_US
dc.subject이계en_US
dc.subject이물en_US
dc.subject비일상성en_US
dc.subject세계관en_US
dc.subjectsamkuk-yusaen_US
dc.subjectpungryu-doen_US
dc.subjectpungryumandalaen_US
dc.subjecthwayen-Jungto-mandalaen_US
dc.subjectthe other worlden_US
dc.subjectan alien substancesen_US
dc.subjectnon-everydaynessen_US
dc.subjectworld-viewen_US
dc.title삼국유사에서 비일상성의 서사화 원리와 양상en_US
dc.title.alternativeThe principles and aspects of the narrativization of non-everydayness in Samkuk-yusa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0-
dc.relation.volume0-
dc.identifier.doi10.18841/2015.46.01-
dc.relation.page9-35-
dc.relation.journal日本學硏究(일본학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도흠-
dc.relation.code2015039652-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COLLEGE OF HUMANITIE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dc.identifier.pidahuru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