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0 0

도시 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 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도시 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공공공간 유형별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Dedign for Urban Amenity Revitalization-Focusing on the Case of Public Space by Type-
Author
황연숙
Keywords
공공공간; 어메니티; 도시재생; 공공 디자인; Public Space; Amenity; Urban Regeneration; Public Design
Issue Date
2015-08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 16, NO 4, Page. 1-16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쾌적한 도시 공공공간 계획을 위해 역사와 문화를 고려하여 공간의 질적 향상을 의미하는 어메니티에 대해 고찰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도시 어메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공간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디자인 서울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공공공간인 공원, 광장, 도로, 친수 공간의 네 가지 유형으로 한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공공공간 유형별 특성분류에 의한 디자인 활성화 항목을 도출하고 평가항목을 통해 사례분석을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공공공간의 어메니티 특성은 위생 보건성, 환경성, 편리성, 심미성, 역사 문화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공공간에서 어메니티 특성은 역사 문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위생 보건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2)위생 보건성 측면에서 자연 환경조건을 고려한 공공공간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쾌적함을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가 동반되어야 한다. 3)환경성 측면에서 무분별한 조형물 및 시설물의 설치를 제한하고 총체적인 시설물의 통합적 계획을 통해 환경과 조화된 계획을 하여야 하며,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재료사용 및 도시와 녹지와의 연결을 통해 공간의 질을 높여야 한다. 4)편리성 측면에서 공간의 혼잡도를 낮추고 주변 편의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한 계획과 사후관리방안이 필요하다. 5)역사 문화성 측면에서 지나친 재료의 혼용을 지양하고 경관특성을 반영한 공공시설물과 공간의 통합적 계획을 통해 주변 환경과 조화로움이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공간과 어메니티와의 접점을 찾고, 사례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환경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후 평가지표개발 및 선호도조사와 같은 후속연구가 진행되어 보다 구체적인 디자인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meniti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improvement of the space quality, for pleasant urban public space planning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public space design for urban amenity revitalization through case analyses. The research subject is confined to the four types - parks, squares, thoroughfares and waterfront areas - that are proposed in the public space design guidelines of ‘Design Seoul’. The design revitalization item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types and the ca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valuation items.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1) The amen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are classified into hygiene, environment, convenience, aesthetics, and history and culture. The amenity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whereas the results regarding hygiene were lowest. 2) Public space planning should be done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in terms of hygiene, and constant maintenance must come along with it to maintain amenities. 3)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there should be restriction on imprudent installation of artwork and equipment, planning should harmonize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the integrated planning of the whole equipment, and the quality of space must be enhanced by using material with sustainability and connecting cities with greens. 4) In the perspective of convenience, there is a need for plans which reduce the congestion of space and consider accessibility to convenient facilities in the vicinity, and for post-maintenance plans. 5) In the aspect of history and culture, with excessive mix of material avoided, public facilities which reflec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should b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integrated planning of spac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public space and amenitie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better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analysis. With later studies 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and preference survey, we need researches which can suggest the more specific improvement of design.
URI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23&idx=298http://hdl.handle.net/20.500.11754/2672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