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7 0

현행 가곡의 사설시조 가창 양상

Title
현행 가곡의 사설시조 가창 양상
Other Titles
Saseol-sijo singing aspect of current Gagok
Author
김영운
Keywords
시조; 사설시조; 가곡; 각; 편삭대엽; Sijo; Saseol-sijo; Gagok; Gak; Peon-sakdaeyeop
Issue Date
2015-07
Publisher
한국시조학회
Citation
시조학논총, NO 43, Page. 5-39
Abstract
시조는 조선 후기 한국의 문학작품 중 단형시가를 대표하는 문학 장르이다. 시조의 기본형식은 3장 6구 12음보의 형식을 갖춘 평시조로, 평시조 한 수의 노랫말은 45자 내외의 길이를 지닌다. 그러나 시조의 한 종류인 사설시조는 노랫말의 글자 수가 많이 늘어나 100여 자를 넘는 작품도 있다. 이 같은 사설시조 중에는 한문 어휘를 많이 사용하고, 심지어는 한시에서 몇몇 구절을 차용한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작품도 있으나,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내용’의 작품도 많이 있다. 문학작품인 시조는 가곡과 시조창이라는 성악곡의 노랫말로 사용되는데, 동일한 시조시가 가곡과 시조의 노랫말로 활용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그러나 성악곡인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랫말로 사용하는 악곡 중에는 ‘외설스러운 작품’은 거의 부르지 않고, ‘엄숙한 느낌’의 노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는 가곡 중에서 사설시조를 노래하는 악곡은 대부분 ‘엄숙하고 우아한 느낌’의 노랫말을 사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외설적이고 노골적인 내용’의 사설시조를 가곡에서 노랫말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러한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규칙하게 늘어나는 노랫말과, 그에 따르는 반주 때문으로 보인다. 가곡은 악보에 기록되어 전하는 정해진 선율을 다수의 악기가 반주 한다. 따라서 사전에 선택된 노랫말에 따라 일정하게 만들어진 노래선율과 반주선율에 의하지 않으면 연주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문학작품의 감상은 개인적인 독서활동을 통하여 사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가곡은 다수의 인원이 열린 공간에서 공개적인 연주를 통하여 연행하는 것이다. 특히 조선 후기의 사회적 제도와 관습 속에서 신분이 다른 남녀가 함께 모여 외설스럽고 노골적인 노래를 부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 글을 통하여 사설시조의 문학적 특성으로 일컬어지던 서민적이고 통속적인 성격은 가곡으로 불려진 사설시조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Shijo (Korean poetic form) i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genre of a short poem among the literary works of Korea in the late Chosen Dynasty. The format of Sijo is Normal-Shijo in the form of 3 verses, 6 sections and 12 sound, and the lyrics of one Normal-Shijo has within or without 45 words. But Saseol-sijo ,a type of Sijo, there is a work that has more than 100 letters due to the number of lyrics were a lot increased. Among those Saseol-sijo there is a work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borrowing some verses even from Chinese poem, using a lot of Chinese vocabulary, but there are a lot of works w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Literary work, Shijo, is used for lyrics of vocal music as Gagok (a genre of Korean vocal music for mixed female and male voices) and Sijochang,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same Sijo poem is used as lyrics of Gagok and Shijo. But those music that use Saseol-sijo as lyrics among Gagok, the vocal music, are mainly songs with ‘solemn feeling’ rather than ‘salacious work’.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ason why the Saseol-sijo ith ‘salacious and explicit contents’ are hard to be used as lyrics in Gagok, confirming the fact that most music singing Saseol-sijo among Gagok that are being handed down till now use lyrics with ‘solemn and elegant feeling’.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ose reasons seems to be irregularly increasing lyrics, and in accordance with accompaniment. Gagok accompanys a number of instruments the fixed melody recorded and delivered in score. So it’s almost impossible to play unless it depends on the steadily made song melody and accompaniment melody according to the chosen lyrics in advanced. Also, appreciation of literary works is usually made privately through a private reading activity, but Gagok is conducted through public performance in an open space for many people. Especially, it would have been hard to sing a salacious and explicit song gathered together with men and women of different social status in social system and custom of the late of Chosen Dynasty.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 that folksy and popular character that was praised for literary characteristic of Saseol-sijo can’t be easily found from Saseol-sijo that was called Gagok.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395864?TotalCount=1&Seq=1&q=((%5B%ED%98%84%ED%96%89%20%EA%B0%80%EA%B3%A1%EC%9D%98%20%EC%82%AC%EC%84%A4%EC%8B%9C%EC%A1%B0%20%EA%B0%80%EC%B0%BD%20%EC%96%91%EC%83%81%C2%A7coldb%C2%A72%C2%A751%C2%A73%5D))&searchWord=%EC%A0%84%EC%B2%B4%3D%5E%24%ED%98%84%ED%96%89%20%EA%B0%80%EA%B3%A1%EC%9D%98%20%EC%82%AC%EC%84%A4%EC%8B%9C%EC%A1%B0%20%EA%B0%80%EC%B0%BD%20%EC%96%91%EC%83%81%5E*&searchWordCondition=%EC%9E%90%EB%A3%8C%EC%9C%A0%ED%98%95%3D%5E%24%EC%A0%84%EC%B2%B4%5E*&Multimedia=0&isIdentifyAuthor=0&Collection=0&isFullText=0&specificParam=0&SearchMethod=0&Sort=1&SortType=desc&Page=1&PageSize=50http://hdl.handle.net/20.500.11754/25940
ISSN
1226-283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MUSIC[S](음악대학)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