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6 0

명동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Title
명동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Other Titles
Composition Assessment of the Fashion Flagship Store
Author
신경주
Keywords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브랜드 이미지; Fashion Flagship Store; Composition Assessment; Brand Image
Issue Date
2015-05
Publisher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포럼, NO 47, Page. 267-278
Abstract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효과적인 계획 시 활용 가능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명동에 있는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6곳의 인테리어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토탈 인테리어 디자인 평가 결과 공간적 요소와 장식적 요소 중 가구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나 매장 내 편의가구의 설치가 필요하였다. 둘째, 디스플레이의 형태 및 방법, 가구의 형태 및 매장 분위기와의 조화, 조명의 형태, 마네킹, 카운터, 피팅룸, 고객 편의시설, 접근성, 간판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셋째,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로고 및 심벌마크를 활용한 간판,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살린 파사드 등으로 브랜드의 이미지를 부각시켰고, 내부공간에도 로고 부착, 브랜드 컨셉을 반영한 디스플레이를 하고 있었다.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마네킹, 가구, 조명 등을 활용해 제품을 부각시키고 있었으며, 고객이 즐겨 찾고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휴게공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Many companies are running flagship stores to build their brand identities, since brand images highly influence purchase behaviors of customers. To provide data helpful in setting out an effective plan of fashion flagship stor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interior design of 6 fashion flagship stores in Myeong-dong.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otal interior design, among spatial elements and decorative elements, furniture obtained the lowest score. This means there is a need to install convenient furniture in the stores. Second,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form and method of display, the form of furniture and the harmony with the store atmosphere, the form of lighting, the mannequin, counter, the fitting room, the convenient facility for customers, the accessibility and the signboard. Third, the fashion flagship stores emphasized brand images using signboards which apply brand logos and symbol marks, and façade that express brand identities, and attached logos to interior spaces, or installed displays that reflect brand concepts. In conclusion, the fashion flagship stores were emphasizing the products using various forms of displays, mannequins, furniture and lighting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t spaces should be improved for customers to visit often and stay comfortably.
URI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248868http://hdl.handle.net/20.500.11754/24454
ISSN
2233-920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