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6 0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대학 기능유형별 차이: 교수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Title
고등교육 책무성에 대한 대학 기능유형별 차이: 교수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difference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on their accountability: focusing on analyzing faculty member’s perception
Author
박주호
Keywords
고등교육의 책무성; 대학의 기능별 유형; 책무성에 대한 교수 인식;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Faculty member’s perception
Issue Date
2015-05
Publisher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Citation
교육문제연구, v. 28, NO 2, Page. 1-26
Abstract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비해,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핵심적 이해관계자인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책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통하여 우리나라 교수들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별로 고등교육 책무성의 개념 및 책무성 확보기제의 적절성, 그리고 고등교육이 추구해야 할 목표와 이해관계자에 대한 책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부의 고등교육 책무성 확보 정책의 유효성에 대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속대학의 기능유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영향의 유효성 정도는 직업교육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 연구중심대학 순이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유형별로 인식 차이를 보이는 이슈들에대해서는 자율적으로 합의 형성을 위한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즉,본 연구가 제시한 이해관계자의 관점 차이 조율은 고등교육 책무성을 제고함에 있어 구체적이고 정교한 정책적 판단을 내리거나, 향후 조화롭고 균형적인 방향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importance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has been increasing with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Nevertheless, there is a paucity of empirical research to examin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faculty members who are in a critical position of the stakeholders in relation to higher education policy perceive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what kind of factors affect their perceptions.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s that faculty members’perceptions o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re different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function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different typ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ositively affect the effectiveness of higher education policy to strengthen their accountability. The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fferent perception of the faculty members o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need to have an openly debating opportunity as well as an official rule leading to a consensus. Namely,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prior coordinating and tuning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takeholders will be helpful for building an accurate and concrete discussion making needed to strengthen higher education accountability and for driving the balanced future direction.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4230862#http://hdl.handle.net/20.500.11754/24384
ISSN
1226-786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EDUCATION(교육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