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신동욱 | - |
dc.date.accessioned | 2016-09-20T02:47:36Z | - |
dc.date.available | 2016-09-20T02:47:36Z | - |
dc.date.issued | 2015-03 | - |
dc.identifier.citation | 한국광물학회지, v. 28, NO 1, Page. 51-60 | en_US |
dc.identifier.issn | 1225-309X | - |
dc.identifier.issn | 2288-7172 | - |
dc.identifier.uri |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316044 | - |
dc.identifier.uri | http://hdl.handle.net/20.500.11754/23231 | - |
dc.description.abstract | 파키스탄 북부 Gilgit-Baltistan에서 산출된 천연 아쿠아머린의 다른 산지와 구별되는 내포물과 분광학적 특성을 표준 보석 감정 장비와 XRF, ICP-AES, XRD, FT-IR, Raman 등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보석 광물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페그마타이트 환경에서 생성되는 Mn과 결합한 탄탈라이트 결정내포물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고 분광학적 방법에 있어서는 채널 속 H2OH2O 타입이 파키스탄과 함께 아쿠아머린 산지로 유명한 베트남, 브라질, 중국, 마다가스카르 지역의 H2OH2O 타입-II에 비해서 타입-I에 더 근접했으며 알칼리 이온과 관련이 있는 타입-II도 다소 관찰되었다. 또한 Na2ONa2O 함량을 성분 분석한 결과 0.137 wt%로써 이 결과는 Schmetzer와 Kiefert (1990)의 에머럴드 연구에서 제안한 FT-IR 특정 피크들의 상대적 강도에 의한 알칼리 이온의 함량에 따른 분류표를 기준했을 때 Na2ONa2O 함량이 0.06-0.4 wt%이었으므로 이 Na2ONa2O 함량은 그 분류표에 없는 함량으로 그룹 II와 그룹 III 사이에 해당되므로 채널 속 Na는 주로 H2O−Na−H2OH2O−Na−H2O 의 배열 형태를 가진 것으로 예측된다. We applied gemological analytical approaches on Aquamarine from the Gilgit-Baltistan of Northern Areas, Pakistan. The standard gemological testing indicates that they are consistent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aquamarines. We have identified the inclusions of Tantalite-Mn by Raman analysis. It indicates that they occurs in association with the veins of Be-rich coarse pegmatite. And the results of chemical analyses,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and Raman spectroscopy indicate that H2OH2O molecules in channel mostly exist in Type-I and a little Type-II with low alkali ion. The comparison of relative peak intensity of FT-IR analysis can be used for prediction of Na2ONa2O content within not only emerald but also aquamarine. | en_US |
dc.language.iso | ko_KR | en_US |
dc.publisher | 한국광물학회 | en_US |
dc.subject | 아쿠아머린 | en_US |
dc.subject | 파키스탄 | en_US |
dc.subject | 탄탈라이트 | en_US |
dc.subject | H2O타입 | en_US |
dc.subject | Aquamarine | en_US |
dc.subject | Pakistan | en_US |
dc.subject | Tantalite | en_US |
dc.subject | FT-IR | en_US |
dc.subject | Raman | en_US |
dc.subject | H2O-Type | en_US |
dc.title | 파키스탄 북부 Gilgit-Baltistan 지역에서 산출된 아쿠아머린의 특성 연구 | en_US |
dc.title.alternative | Gemological Characteristics of Aquamarine from the Gilgit-Baltistan of Northern Areas, Pakistan | en_US |
dc.type | Article | en_US |
dc.relation.no | 1 | - |
dc.relation.volume | 28 | - |
dc.identifier.doi | 10.9727/jmsk.2015.28.1.51 | - |
dc.relation.page | 51-60 | - |
dc.relation.journal | 한국광물학회지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김성재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신동욱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손수학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장윤득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Kim, Sung Jae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Shin, Dong Wook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Shon, Shoo Hack | - |
dc.contributor.googleauthor | Jang, Yun Deuk | - |
dc.relation.code | 2012101368 | - |
dc.sector.campus | S | - |
dc.sector.daehak | COLLEGE OF ENGINEERING[S] | - |
dc.sector.department | DIVISION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 - |
dc.identifier.pid | dwshin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