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 0

AHP를 이용한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 평가

Title
AHP를 이용한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 평가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Child-rearing Environment for Local Governments in Seoul Using AHP Method
Author
구자훈
Keywords
육아환경; 분석적 계층화 과정; 평가지표; child-rearing environment;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evaluation index
Issue Date
2015-03
Publisher
서울연구원
Citation
서울도시연구, v. 16, NO 1, Page. 137-147
Abstract
본 연구는 육아환경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공공의 입장에서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제안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17개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항목별 가중치 설정을 위해 전문가와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을 통하여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지표를 이용하여 서울시 자치구의 물리적 육아환경을 평가하였다. 육아환경 평가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육아환경 평균점수는 0.554이며, 종로구(0.864), 중구(0.840), 서대문구(0.659), 동대문구(0.631), 노원구(0.608)의 순으로 육아환경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나 자치구 입장에서 본 분석은 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찾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구로구(0.423), 송파구(0.443), 동작구(0.450), 은평구(0.463), 강동구(0.474) 등이 육아환경 개선이 필요한 자치구로 나타났다. 이들은 육아환경 개선 정책 수립 시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육아환경 제고 시 각 자치구에 부족한 인프라를 확인하고 타 자치구와의 상대적인 수준 비교를 통해 정책목표와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physical environment evaluation index for child-rearing and to evaluate local governments in Seoul with the index. Seventeen items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with experts. This study used the Seoul Statistics to monitor the quality of child care environments continuously. Based on a survey of professionals and parents, AHP established specific weights for each items. It evaluated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child-rearing of local government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Seoul local governments is 0.554, and child care environment score was low at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Guro-gu(0.423), Songpa-gu(0.443), Dongjak-gu(0.450), Eunpyeong-gu(0.463), Gangdong-gu(0.474). Thos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 priority when Seoul city government makes policy for improvement of child-rear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a basis to analyse the lack of infrastructure for each local government to improve child care environment and set the policy objectives and direction over the relative level compared with other local government.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06284253http://hdl.handle.net/20.500.11754/22601
ISSN
1738-7124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S](공과대학) >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도시공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