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1 3

독자적인 채무불이행유형으로서의 이행거절 재론 - 판례의 형성 및 법률효과를 중심으로

Title
독자적인 채무불이행유형으로서의 이행거절 재론 - 판례의 형성 및 법률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Repudiation as a Independent Type of Breachof Contract, Revisited
Author
양창수
Keywords
Delay of the Damages; 채무불이행; 이행거절; 유형; 계약해제권; 전보배상청구권; Repudiation of Contract; Breach of Contract; Types of Contract Breach; Compensatory Damages
Issue Date
2015-01
Publisher
법조협회
Citation
법조, v. 64권, NO 1호, Page. 5-57
Abstract
이 글은 약 20년 전에 발표한 글 “독자적인 채무불이행 유형으로서의 이행거절”에 이어지는 것이다. 거기서는 채무불이행의 객관적 요건을 포괄적으로 정하는 일반조항인 민법 제390조 아래서는 채무불이행이 이행지체·이행불능·불완전이행의 셋에 그친다는 종래 통설의 ‘폐쇄적 3유형론’에 고착될 이유가 없고 다른 적절한 유형이 그에 포섭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그 하나로 ‘이행거절’을 제안하고 그것이 우리 실무상으로는 물론 비교법적으로도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 글은 먼저 판례가 대판 2005.8.19, 2004다53173 이후 여러 재판례를 통하여 정면에서 이행거절을 독자적 채무불이행 유형으로 인정하고 그에 고유한 법률효과, 즉 쌍무계약의 경우에 이행최고나 반대급부의 이행을 요하지 않는 계약해제권, 그리고 즉각적인 전보배상청구권을 부여함을 확인한다. 나아가 이때 전보배상청구권은 이행거절 당시 급무목적물의 시가를 구체적 내용으로 하며 그렇다면 그 지연손해금도 그때부터 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repudiation as a independent type of contract breach in the Korean civil law. Catching up my former writing on the same theme published about 20 years ago, it confirms that the Korean judges have adopted the concept of repudiation of contract, especially anticipatory repudiation, as a independent type of breach of contract, since the ruling of August 19, 2005, Case No. 2004DA53173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Prevailing opinions in the academia are very positive on this meaningful development in the judge-made law. And some aspects of the legal effects of contract repudiation are added to the article, i.g. how the compensatory damages should be measured and from when the damages caused by delay of the compensation should be counted.
URI
http://kiss.kstudy.com/journal/thesis_name.asp?tname=kiss2002&key=3285813http://hdl.handle.net/20.500.11754/21182
ISSN
1598-4729
Appears in Collections:
SCHOOL OF LAW[S](법학전문대학원) > Hanyang University Law School(법학전문대학원)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