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기반의 공공미디어서비스를 위한 행위유도 디자인 연구- 스마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

Title
UX기반의 공공미디어서비스를 위한 행위유도 디자인 연구- 스마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ffordance Design for UX-based Public Media Services - Focused on Smart Signage -
Author
김성훈
Keywords
UX 디자인; 공공미디어서비스; 스마트 사이니지; 행위유도성; User Experience Design; Public Media Services; Smart Signage; Affordance
Issue Date
2022-01
Publisher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Citation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v. 78, page. 9-19
Abstract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공공미디어서비스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일차적으로 스마트 사이니지를 중심으로 공공미디어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보고, 사례를 통해 스마트 사이니지의 행위유도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UX디자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을통해 공공미디어서비스의 이해와 미디어의 패러다임을 제시하였으며 공공미디어서비스에서 활용되는 스마트 사이니지의 현황과 정보형, 체험형, 게임형의 3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 중심의 행위유도성요인으로 위치, 형태, 크기, 재질, 방향, 색채 6가지를 도출하였다. 유형별 행위유도성 요인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정보형은 위치, 방향, 크기, 색채, 형태, 재질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형의 경우 색채, 형태, 재질, 크기, 위치, 방향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형의 경우 색채, 위치, 형태, 크기, 재질, 방향 순으로 중요도가 집계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공간에서의 스마트 사이니지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는 환경에서 공공미디어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I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media services focusing on Smart Signage as a way to meet the needs of more diversified users of public media services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Furthermore, I aimed to study the UX desig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user experience by analyzing the behavior inducement of Smart Signage through many case studies. Therefore, I presented the understanding about the public media services and the paradigm of media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Smart Signage used in public media service and the three types of Smart Signage: information type, experience type, and game type. Based on this, six behavioral induction factors such as position, shape, size, material, direction, and color were derived as the action-inducing factors focusing on user experienc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ortance of action-inducing factors by type,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type had the highest importance in the order of position, direction, size, color, shape, and material.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 type, color, shape, material, size, position, and direction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the order.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game type, importance was counted in the order of color, position, shape, size, material, and direction. Based on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the effective use of public media services shall be conducted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use of Smart Signage in public spaces is increasing.
URI
https://kiss.kstudy.com/Detail/Ar?key=393139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92068
ISSN
1976-1562
DOI
10.25111/jcd.2022.78.0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