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 고령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를 고려한 클린라벨디자인

Title
만성질환 고령 소비자의 시각적 주의를 고려한 클린라벨디자인
Other Titles
Clean Label Design Considering the Visual Attention of Elderly Consumers with Chronic Diseases
Author
홍우정
Keywords
만성질환 고령자; 클린라벨디자인; 시각적 주의; Chronic Disease Elderly; Clean Label Design; Visual Attentiob
Issue Date
2022-09
Publisher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Citation
브랜드디자인학연구(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v. 20, no 3, page. 305-316
Abstract
연구배경과 목적은 초‧고령화 사회로의 변화로 인해 만성질환 고령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헬스 케어 식품들이 늘어나면서 클린라벨디자인이 건강한 식품선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 이후 고령자의 온라인 구매환경은 변화되었지만 고령 소비자의 시력노화를 감안한 식품의 영양정보를 보여주는 인터페이스디자인 연구는 부족하다. 클린라벨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높아지는 이때 고령 소비자의 영양정보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클린라벨디자인을 제품의 상세페이지에 크게 제공할 경우에 따라 시각적 주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60세 이상부터 70세 이하까지의 만성질환 고령자 남여(N=22)를 대상으로 토비의 프로퓨젼과 프로랩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관심영역(AOI)은 실험 참여자의 클린라벨디자인 관련 강조표시의 유무와 위치에 대한 토탈 고정시간(TFD)로 시각적 주의의 차이에서 상세 페이지 인터페이스에서 클린라벨디자인이 제품사진 위에 크게 배치한 시각자극 제시 중 (12번=1.1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코크란(Cochran) 검정으로는 유의확률이 0.000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 연구결론은 클린라벨디자인이 제품사진 상단에 크게 위치할 경우 시선집중으로 영양정보인지에 도움이 되어 건강한 제품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로 시지각적 감소로 인하 상향식 주의에 의해 정보탐색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자의 인터페이스디자인 전략연구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길 바란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hat clean label design has a positive effect on elders when selecting health care products. In relation, as the needs for the health care product dramatically increases due to elders with chronic diseases and the change to a super aging society. Although the online purcha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has changed since the covid-19, so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nterface design that easily shows nutritional information of food and simply in consideration of the aging eyesight of elderly consumers. Methods the study method was conducted using Tobii Profusion and Prolab for elderly men and women (N=22) with chronic diseases from 60 to 70 years of age. Result AOI, in the difference in visual attention in the TFD fo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clean label design-related highlighting and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in the detailed page interface, the (12) was the highest at 1.1145.Cochran ANOVA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00.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attract visual attention and help recognize nutritional information when the clean label design is placed on the top of the product photo, which will help choose healthy foods.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face design strategy research for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y in information search due to bottom-up attention due to reduced visual perception.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940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91777
ISSN
1738-0863
DOI
10.18852/bdak.2022.20.3.305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