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0

근거이론 기반 NFT아트 시각인지 요소 연구 -PFP 유형 작품을 중심으로-

Title
근거이론 기반 NFT아트 시각인지 요소 연구 -PFP 유형 작품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sual Cognition Element of NFT Art Based on Grounded Theory -Based on PFP Type Works-
Author
정의태
Keywords
NFT & PPF 예술품; 근거이론; 시각인지 요소 모형; NFT & PPF Artworks; Grounded theory; Visual Cognition Element Model
Issue Date
2024-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 30, no 2, page. 467-480
Abstract
NFT는 전통적인 예술 창작 및 거래 모델을 뒤집고예술 창작자와 수집가를 위한 탈중앙 플랫폼을 구축하며 새로운 디지털 예술 유통 형태를 제공한다. 개인이미지 PFP를 중심으로 한 NFT 작품은 소셜 미디어의 정체성과 지위를 상징하며 개인 브랜드 구축에서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NFT 예술의 시각 인지 요소 모델을 통해 예술가와 수집가의 시장 발전을위한 이론적 지원을 제공하며 시각적 디자인 혁신과실천을 촉진고자 한다. 먼저 사전 조사와 문헌 검토를통해 NFT PFP의 개념과 PFP 작품의 시각 인지 단계를 분석한다. 둘째,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36 명의 NFT 창작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인터뷰를 진행하고,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인터뷰 데이터를 3단계로 인코딩하며, NFT 예술 시각 인지 요소모델을 제안한다. 셋째, 구조 방정식 모델 SEM과SPSS를 사용하여 구축된 모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한다. 또한 모델에서 제안한 요소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각 요소가 시각적 인지에 어떤 영향을미치는지 설명한다. 연구 결과, NFT 예술품의 시각인지에서 색상, 도형, 형태, 문화, 스타일 및 창의성의6가지 시각적 요소가 핵심 역할을 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NFT 예술의 시각 인지의복잡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디지털 예술창작자와 소비자에게 이론적 참고 모델을 제공한다.
NFT subvert traditional art creation and trading models, build a decentralized platform for art creators and collectors, and provide a new form of digital art distribution. NFT artworks centered on personal image PFPs symbolize identity and status on social media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sonal brand build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the market development of artists and collectors through a model of visual cognitive elements of NFT art, and to promote visual design innovation and practice. First, the concept of NFT PFP and the visual perception stages of PFP artworks are analyz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Secon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conduct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36 NFT creators and consumers, use grounded theory to encode the interview data into three stages, and propose a visual perception factor model of NFT art. We quantitatively analyze and validate the built model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M and SPSS. We als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factors proposed in the model and explain how each factor affects visual percep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ix visual elements play a key role in the visual perception of NFT artworks: color, graphics, form, culture, style, and creativity.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complexity of visual perception of NFT art in the digital era and provides a theoretical reference model for digital art creators and consumer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918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91203
ISSN
1598-6497
DOI
http://dx.doi.org/10.18208/ksdc.2024.30.2.46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