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대학생 간 대화에서 해라체 ‘-다’의 사용

Title
교수-대학생 간 대화에서 해라체 ‘-다’의 사용
Other Titles
The Use of ‘-Ta’ Style in Task-Based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Author
김명희
Keywords
‘-다'; 해라체; 문어체; 구어체; 대화; 의외성표지; 주관화; 상호주관화; ‘ta'; hayra style; written style; spoken style; mirrative; subjectification; intersubjectification
Issue Date
2023-12
Publisher
민족어문학회
Citation
어문논집, no 99, page. 523-550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해라체 ‘-다’가 교수-대학생 간의 과제중심대화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문어체의 대표적 종결어미인 ‘-다’는 불특정의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단절성과 화자지향성이 강한 인쇄물에서 주로 쓰이지만, 구어체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0명의 남녀 교수와 대학생 쌍이 15장의 그림을 배열하여 스토리를 만드는 과업중심대화에서 ‘-다’는 총 176회 출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다’가 단독으로 나타날 때와 반응 말차례에서 나타날 때를 구별하여 이루어졌다. 단독으로 나타날 때의 주요 기능은 (1) 스토리 서술과 (2) 순간적으로 인지한 정보 또는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었고, 반응 말차례에서 나타날 때는 선행발화에 대한 (1) 되새기기/되묻기(메아리 의문문)와 (2) 맞장구의 기능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중립적 문어체 ‘-다’의 대화에서의 의미 다변화는 주관화(subjectification)와 상호주관화(intersubjectification)의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의 순간적으로 인지한 정보 표지 기능은 의외성 표지(miratives)로서의 가능성이 있어 좀 더 면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olves the analysis of how ‘-ta’, a representative sentence ending marker in written language, is utilized in task-oriented interactions between professors and university students. The ‘-ta’ style is typically employed in print media aimed at an unspecified audience, yet it is also widely used in spoken language. In this research, which focuses on task-based conversations involving 40 professors and students arranging 15 pictures to create a story, ‘-ta’ appeared 176 times. The analysis distinguishes when ‘-ta’ appears independently and when it occurs in response turns. When used independently, its primary functions involve (1) storytelling and (2) conveying momentarily perceived information or feelings. When it occurs as a response turn, it serves as (1) echo questions and (2) backchannel responses. The semantic diversification of the neutral written marker ‘-ta’ in conversations can be explained as a shift toward subjectification and intersubjectification. Moreover, the function of signaling momentarily perceived information by ‘-ta’ suggests potential mirative functions, promp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04328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90821
ISSN
2765-3455; 1226-6388
DOI
http://dx.doi.org/10.33335/KLL.99.18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NGLISH LANGUAGE & CULTURE(영미언어·문화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