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0

일상관광, 관광의 해체인가 확장인가

Title
일상관광, 관광의 해체인가 확장인가
Other Titles
Tourism in Daily Life, Deconstructing or Expanding of Tourism
Author
김지선
Alternative Author(s)
KIM JISUN
Advisor(s)
이훈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boundaries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are becoming blurred. Tourism has been considered an activity that escape from an alienated world, seeking authenticity in others’ lives(Cohen, 1979). UN·UNWTO(2010) defines tourism as “traveling to a main destination outside of the usual environment.” It is a concept that stands in contrast with daily life and emphasizes mobility. However, this dichotomy between daily life and tourism is undergoing a rupture with the advent of postmodernism.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tial and performative aspects of daily life tourism, which is emerging as a phenomenon amid the dedifferentiation of ordinary spaces and tourism spaces. It also aims to explore whether tourism is deconstructed or expanded through daily life tourism. In this context, daily life tourism is defined as "tourist activities occurring within one’s daily lifestyle," with the spatial scope defined as areas in which individuals live their daily lives, such as their residence, school, and workplace.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concepts of daily life and traditional tourism, this study critiques this dichotomous perspective on tourism. Additionally, the study presents performativity as an analytical lens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daily life tourism. Butler’s performativity encompasses the subversive potential to deconstruct and rearrange conceptual categories from the perspective that identity is formed through the repetition of socioculturally regulated actions. This study employ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ith data collection centered around in-depth interviews,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itizens and workers in Seoul visiting Seongsu-dong, the study sit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Colaizzi’s method to derive categories related to tourism experiences, tourism performativity of daily life tourism, and the concept and the domain of touri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experiences of daily life tourism unfolded in the context of free pursuits during leisure time. The study participants appeared to use daily life tourism as a means of escaping obligation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ir daily liv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sense of place identity in the industrial area of Seongsu-dong, as well as the placeness and extraordinary quality of residential spaces. On the other hand, exotic landscapes and scenes away from the city center were found to induce cognitive distance. This study adopted a performativity perspective to analyze tourist behavior in daily life. Specifically, it examined how the notion of “being a tourist” in traditional tourism is performed as "doing a tourist" within the context of daily life tourism. In the case of activities such as “searching for travel information and planning destinations,” it was observed that in contrast to traditional tourism, where concrete plans are made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ourist attractions and local cuisine, daily life tourism revolves around exploring information about new spaces and seeking unique experiences. In the case of “exploring and observing the local area,” traditional tourism focuses on visiting tourist attractions and observing local lifestyles, while the emphasis of daily life tourism is on exploring trendy locations and new spaces, and experiencing the extraordinary qualities of the place. Regarding “tourist behavior,” traditional tourists tend to exhibit behaviors such as overconsumption, deviant behavior, and taking photos in popular spots, whereas daily life tourism involves activities such as following queues or taking photos for memories. Thus, daily life tourism appears to mimic the formalized behaviors of traditional tourism; however, it is performed in a way that emphasizes novelty and strangeness in a familiar environment, as well as extraordinary experiences. This study found that daily life tourism expands the concept and domain of tourism. As ordinary spaces transform into tourist destinations, daily life tourism is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tourism. Furthermore, daily life tourism was found to bring about experiential changes such as enjoyment, creativity, relaxation, refreshment, and introspection into daily life. This suggests an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ourism, characterized by the easing of spatial and temporal constraints, a changed understanding of mobility, and an understanding of tourism centered on psychological stat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daily life tourism within the context of the de-differentiation between ordinary spaces and tourism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experience and performativity, as well as its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experiential structure in which daily life tourism expands both the concept and the domain of tourism. Moreover, practical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is study.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reevaluation of local tourism policies tailored to citizens and workers and a reassessment of the operational definitions of tourism based on the premise of “escaping usual environments.”|일상과 관광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관광은 소외된 일상을 벗어나 타인의 삶에서 진정성을 추구하는 활동으로 간주되어져 왔다(Cohen, 1979). 또한, 관광은 ‘일상환경을 벗어나 주요 목적지로 여행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UN·UNWTO, 2010). 이처럼 관광은 일상과 대조되며, 이동성이 강조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일상과 관광의 이분법적 관점은 포스트 모더니즘의 도래로 균열이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일상과 관광공간이 탈분화되는 가운데 현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일상관광의 경험과 수행을 이해하고, 일상관광을 통해 관광이 해체되는지 확장되는지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때, 일상관광은 ‘일상의 생활양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광활동’으로 정의하고, 공간적 범위는 거주지, 학교, 직장 등 개인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 내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과 전통적인 관광 개념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관광의 이분법적 관점을 비판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또한, 일상관광 현상의 분석 관점으로 Butler의 수행성을 제시하였다. 수행성은 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된 행위를 반복하는 가운데 정체성이 구성된다는 관점으로 개념의 범주를 해체하고 재배치하는 전복 가능성을 내포한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적용하고,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문헌고찰과 참여관찰을 병행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대상지인 성수동을 방문한 서울시민과 서울시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분석은 Colaizzi(1978)의 방법을 적용하여 일상에서의 관광경험, 관광수행성, 관광개념과 관광영역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에서의 관광경험은 여가의 맥락에서 일어났으며,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일상의 의무와 사회적 관계로부터 탈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성수동에서 공업지역의 장소정체성을 경험하고, 주거공간의 장소성과 비일상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국적인 풍경과 도심을 벗어난 풍경은 인지적 거리감을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상에서의 관광행위는 수행성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즉, 전통적인 관광에서 ‘관광자’의 행위가 일상관광에서 ‘관광자 하기’로 어떻게 수행되는지 분석하였다. 관련하여 ‘여행정보 탐색 및 목적지 계획’의 경우, 전통적 관광은 관광명소와 현지 음식정보 등을 수집하여 구체적으로 계획되는데 반해, 일상관광에서는 새로운 공간에 대한 정보 탐색과 특별한 경험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탐방과 관찰’의 경우, 전통적인 관광은 관광명소 탐방과 현지 생활양식에 관심을 갖는 반면, 일상에서는 핫플레이스와 새로운 공간 탐색, 비일상성의 발견 등이 강조되었다. ‘관광자 행동’의 경우, 전통적인 관광에서는 과소비, 일탈 행위, 인증사진 촬영 등이 나타났으나, 일상에서는 방문자를 따라 줄을 서거나, 추억사진 촬영 등이 수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처럼 일상관광은 전통적인 관광의 양식화된 행동을 모방하지만, 익숙한 환경에서 새로움과 낯섦, 비일상성을 경험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상관광은 관광개념의 확장과 관광영역의 확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상공간이 관광목적지화되는 가운데 일상관광은 전통적인 관광의 대안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관광은 일상에서 즐거움과 창의성, 힐링과 리프레쉬, 자기성찰과 같은 체험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의 시·공간 제한 완화, 관광에서의 이동성에 대한 인식 변화, 심리적 상태 중심의 관광 인식 등 관광개념을 확장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일상과 관광공간의 탈분화 맥락에서 나타나고 있는 일상관광 현상을 관광경험과 수행성 관점에서 분석하고, 관광개념의 확장과 관광영역의 확대로 이어지는 체험 구조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민과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지자체 관광정책의 필요성과 ‘일상환경을 벗어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관광의 운영적 정의에 대한 재고찰 필요성 등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809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46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