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0

한국 거시금융경제의 세 논문

Title
한국 거시금융경제의 세 논문
Other Titles
Three essays on macro-financial economy in Korea
Author
최우주
Alternative Author(s)
Choi Woo Joo
Advisor(s)
이항용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paper studied topics covered as recent issues in Korea's macro-financial economy. The first essay, The effects of cental bank swap lines on exchange rate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was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currency swaps for four emerging countries that signed currency swaps with the U.S. Federal Reserve and seven emerging countries that did not sign currency swaps dur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COVID-19 crisis using DID method. The conclusion of a currency swap with the US Federal Reserve contributed to stabilizing the exchange rate of the contracting country, but the effect of the currency swap on the exchange rate was only short-term. This type of announcement effect is believed to have had the effect of not only stabilizing the exchange rates of contracting countries in the short term, but also stabilizing the exchange rates of non-contracting countries by stabilizing the entir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The second essay, Analysis of banks’ lending determinants by industry, focusing on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o what extent GDP by industry influenced banks' loans by industry and whether banks' management indicators such as the BIS ratio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lending. The analysis period was 2011 to 2022, and the analysis target was defined as 13 banks, including commercial banks and local banks, individual industries, and two industries. The analysis method was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ifference GMM model. The increase in GDP in the real estate, rental, and construction industries had an effect on the sharp increase in loan size in those industries, and the increase in GDP in other industries had an effect in reducing loans in those industries. When the previous year's BIS ratio and growth rate of household loans(mortgage loan) increased, it had an impact on the increase in loans in the real estate, rental, and construction industri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d an impact on the increase in loans in other industries, the effect was small. The last essay, the effect of financial debt on consumptio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While household debt continues to incre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increased financial debt on consumptio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through a microscopic approach. The analysis period was 2018 to 2022, data from the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were us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using the Panel OLS model. For all households, the growth rate of current income and net assets influenced the increase in consumption, and the ratio of financial debt to current income of the previous year affected the decrease in consumption. For households in their 40s, 4th and 5th income quintiles, and high debt ratio, the ratio of financial debt to current income of the previous year wa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consumption. In particular, for households in their 20s and 30s, the increase in financial debt had an effect on reducing consumption. It is presumed that the high level of financial debt resulted in excessive debt repayment burden, leading to a decrease in consumption.|본 논문은 한국 거시금융경제의 최근 이슈로 다루어진 주제로 연구하였다. 첫 번째 주제, 미 연준과의 통화스왑이 신흥국 환율에 미친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 및 코로나19 위기 기간 중 미 연준과 통화스왑을 체결한 4개 신흥국과 7개 비체결 신흥국을 대상으로 통화스왑의 효과를 이중차분법(DID)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와 다른점은 통화스왑의 환율 안정 효과가 어느정도 지속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및 코로나19로 구분하고, 월별 및 일별자료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미 연준과의 통화스왑 체결은 해당 신흥국의 환율을 안정시키는데 기여하였으나 통화스왑이 환율에 미치는 효과는 단기적으로만 나타났다. 달러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통화스왑 체결은 국제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심리적 안정과 체결국 외환 및 금융시장에 대한 신뢰를 제고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일종의 공시효과(announcement effect)는 단기적으로 체결국 환율을 안정시켰을 뿐 아니라 국제금융시장 전체의 안정을 통해 비체결국의 환율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월별자료를 가지고 실증분석한 결과는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19 모든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추정치가 도출되지 않았다. 향후 정부는 미 연준과의 상시적 통화스왑 체결의 긍정적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이는 기본적으로 미국의 결정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을 감안하여 다른 국가와의 달러화에 기반한 통화스왑 체결도 함께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 주제는, 은행 산업별 대출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 및 건설업 중심으로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산업별 GDP가 은행의 산업별 대출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쳤고, BIS비율 등 은행의 경영지표가 대출 증가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 기간은 2011년 ∼ 2022년, 분석 대상은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포함한 13개 은행, 개별 산업 및 2개 산업으로 정의하였다. 분석 방법은 차분GMM 모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동산·임대·건설업이 기타산업 보다 대출쏠림 현상이 발생했다. 부동산‧임대‧건설업의 GDP 증가가 해당 산업의 가파른 대출규모 증가에 영향을 미쳤고, 기타산업의 GDP 증가는 해당 산업의 대출 감소에 효과를 나타냈다. 전년도 BIS비율이 증가할 때 부동산‧임대‧건설업의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기타산업의 대출 증가에는 기인하였지만 효과는 작았다. 은행들이 충분한 자기자본으로 타 산업 대비 부동산·임대‧건설업으로 적극적인 대출을 집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계대출 및 주택담보대출도 부동산·임대‧건설업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기타산업의 대출 증가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효과는 작았다. 부동산‧임대‧건설업의 높은 주택수요가 해당 산업 경기호황을 방증해주며,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은행 PF 대출 연체율이 타 금융권 대비 낮은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어 문제는 되지 않는다. 다만, 한쪽으로 편중된 신용공급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금융시장의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 주제, 금융부채가 가구특성별 소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가계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시적 접근을 통해서 금융부채 증가가 가구특성별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8년 ∼ 2022년이고,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Panel OLS 모형을 이용하여 가구특성별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가구는 경상소득 증가율, 순자산 증가율이 소비 증가에 기인하였고, 전년도 경상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소비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40대, 4분위 및 5분위, 고(高)부채비율 가구는 전년도 경상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소비 감소에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20·30대는 금융부채 증가가 소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가운데, 높은 수준의 금융부채가 과도한 부채상환 부담으로 이어져 소비를 줄인 것으로 추정된다. 고소득층 가구도 외식비 등 비필수재를 줄일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여 소비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소득 수준이 낮은 가구는 필수재를 줄일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하여 소비 감소에 미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높은 수준의 금융부채는 사람들의 경제활동을 제약시켜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87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45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