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0

북한 수입무역, 공식매체 기사 및 통일 독일 소득수렴에 관한 세 가지 실증연구

Title
북한 수입무역, 공식매체 기사 및 통일 독일 소득수렴에 관한 세 가지 실증연구
Other Titles
Three Empirical Studies on Import Trade and Official Media Articles in North Korea, and Income Convergence in the Unified Germany
Author
이종수
Alternative Author(s)
Lee, Jong soo
Advisor(s)
장형수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Some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since the 2000s. If changes are taking place in North Korea's economic syste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tent of the changes and whether the economic policies supporting the changes are actually operating. And in response to changes in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o reduce the economic strength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ccordingly, the first sub-study in this study analyzes the industries to which centrally planned system is applied in North Korea import trade. To this end, we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increase in import trade amount by industry on the expansion of imported items. The purpose of the first sub-study is to confirm that the central authority's control of North Korea's foreign trade is likely to be applied to heavy industry, which has a high priority in resource allo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 Korean regim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stimated that heavy industry import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anding the diversity of imported items. On the other h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re found in light industry. Therefore, it can be indirectly explained that centralized planning is applied only to North Korea's heavy industry import trade, while light industry is highly likely to be the subject of trade decentralization. The second sub-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North Korea's economic policies actually work for North Korean companies. To this end, we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number of articles and companies related to corporate production and investment published in North Korea's official media (Rodong Shinmu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s real GDP. The data uses the KIET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North Korean industrial and corporate database. We also analyze industries and regions that are relatively important in North Korea's official economy and the activities of key companies in those industries and reg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estimated that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North Korean compani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rease in North Korean real GDP. And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North Korean companies are actually operating as announced by North Korea's economic policy. Additionally, North Korea's economic policy is analyzed to focus on companies or production sectors that can achieve short-term results. This means that the Kim Jong-un regime is likely focusing on economic policies that strengthen production capacity and efficiency rather than expanding production facilities. Therefore, the second sub-study supports the persuasiveness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North Korea's economy is partially recovering and that there is a need to re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North Korean economy. The third sub-study identifies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economic strength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detailed industry on the income convergence effect in East and West Germany after unification. As a result of the actual analysis, the income convergence effect appears to hav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between 1992 and 1995, when a huge amount of government finance was invested immediately after unification. The income convergence effect was reduced or did not appear due to the side effects of the gap in labor productivity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but began to appear after 2008, when the German economy became strong again. In particular, from 2004 to 2008, the income convergence effect was confirmed only in the mining/electricity/water-sewage industry and the public service industry. This explains that government finances and policies play a meaningful role in regional income convergence when the economy is difficult. The third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inimizing the labor productivity ga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role of government finance. However, currently, the economic power strength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much wider than it was at the time of German unification, so there are limits to reducing the economic power gap through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view North Korea's economic development plan through long-term industrial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external financing.|2000년대 이후 북한 경제체제에서는 초기 단계인 것으로 평가되지만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북한 경제체제에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 그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그리고 변화를 뒷받침하는 산업정책이 실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리고 북한의 변화에 대응하여 남북한이 경제력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책들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준비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첫 번째 연구는 북한 대외무역 중 수입무역에서 중앙집권적 계획이 적용되는 업종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업종별 수입무역액의 증가가 수입품목 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한다. 첫 번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대외무역에서 중앙 당국의 통제는 북한 체제 특성을 감안할 때 자원배분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중공업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중공업 수입액은 수입품목 다양성 확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경공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북한의 중공업 수입무역에 한해서는 중앙집권적 계획이 적용되고 있고 경공업은 무역 분권화의 대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는 북한 산업정책의 실제 작동 여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북한 공식 매체에서 발표하는 기업의 생산 및 투자와 관련된 기사의 수와 기업의 수가 북한 실질GDP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한다. 데이터는 산업연구원(KIET)의 북한 산업·기업 DB를 이용한다. 그리고 북한 공식경제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업종과 지역 그리고 동 업종과 지역에서 주축이 되는 기업의 활동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북한 기업의 생산 기사수 증가는 북한 GDP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기업들은 북한 당국의 산업정책과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는 점을 일부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 산업정책은 단기간에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기업 및 생산 부문에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김정은 체제는 생산 시설을 확대하기보다는 생산 역량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산업정책에 주력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두 번째 연구는 북한의 경제가 일부 제한적이지만 회복하고 있고 북한 경제의 내구성을 다시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이 설득력이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세 번째 연구는 남북한이 경제력 격차 축소를 위해 고민해야 할 시사점들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통일 이후 동서독 지역의 소득수렴 효과를 세부 업종별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수렴 효과는 통일 직후 막대한 재정이 투입된 시기인 1992~1995년에 가장 설명력이 높게 나타난다. 소득수렴 효과는 생산성 격차의 부작용 등으로 축소되거나 나타나지 않다가 독일 경제가 다시 강자가 된 2008년 이후 나타난다. 특히 2004~2008년에는 광업/전기/상하수도업과 공공서비스업에서만 소득수렴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 재정과 정책이 지역간 소득수렴 효과에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세번째 연구는 남북간 노동생산성 격차를 최소화하고 재정을 비롯한 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다만 현재 남북한 경제력 격차는 독일 통일 당시보다 매우 크게 벌어져 있어 정부 재정 지출은 한계가 있으므로 남북간 산업협력, 북한의 해외재원 조달 등을 통한 북한 경제 재건이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는 과제를 제시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000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44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