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인격적 감독과 직원 침묵의 관계에 대한 연구

Title
비인격적 감독과 직원 침묵의 관계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Silence: Moderation of Face Consciousness and Mediation of Job Stress
Author
영예
Alternative Author(s)
SIMA, YINGRUI
Advisor(s)
신유형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기업은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직원들이 효과적인 조언을 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직원들은 여러 이유로 조직의 문제점을 알고도 침묵하는 경우가 많다. 조직의 대표로서 상사의 직원 관리 방식은 직원의 심리 인지와 행동 판단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정적 리더십인 비인격적 감독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인격적 감독이 직원의 침묵에 미치는 영향과 메커니즘을 밝히려고 시도했다. 직원 개인의 인지에 따라 직원의 행동 선택도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양의 개인주의 성향에 따른 자기 정체성과 달리 집단주의의 동양 맥락에서 체면 민감성을 중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서사건이론에 따르면 업무환경이나 업무사건의 영향을 받는 개인은 감정의 기복을 일으켜 개인의 특성을 결합해 연구를 수행했다.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를 비인격적 감독과 직원 침묵 관계 간의 매개 변수로 사용했다. 또한, 비인격적 감독과 개인 특성 요인 간의 상호 작용 효과를 밝히기 위해 체면 민감도의 조절 효과와 조절 매개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개인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러 업종 및 직종에 종사하는 한국과 중국의 근로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40명 대상의 설문 응답을 얻었다. 직원이 받은 비인격적 감독 및 직원의 침묵, 직무 스트레스, 체면민감성을 측정하였고, 수집된 설문들을 분석하기 위한 통계 프로그램으로는 SPSS 26과 AMO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근속연수, 고용형태, 국적, 회복탄력성과 같이 가설 검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통제 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직원의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는 정(+)의 관계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면 민감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체면 민감성이 낮은 개인일수록 비인격적 감독 받은 상황에 있을 때 직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 스트레스와 체념적 및 방어적 침묵 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가 비인격적 감독과 직원 침묵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결과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추가분석에서 체면 민감성은 비인격적 감독과 체념적 및 방어적 침묵 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검증했다. 높은 체면 민감성이 가진 직원보다 낮은 체면 민감성을 가진 사람은 비인격적 감독 받을 때 직원의 체념적 및 방어적 침묵을 유발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직원의 침묵행동의 선행요인을 밝히는 문헌에서 체면민감성의 역할을 제시했다는 점에 중요한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사는 비인격적 감독을 줄이고 직원 개개인의 기질에 맞게 개입하는 관리방식을 제시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Many companies expect their employee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make timely decisions. However, for various reasons, employees often remain silent about organizational problems. The way supervisors lead their subordinates as representatives of the organization can affect employees' psychological perceptions and judg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busive supervision in predicting employees’ stress and work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hed light on the impact and mechanism of abusive supervision on employee silence. As employees' silence is influenced by their own personal traits and work environment, this study focuses on face consciousness in the collectivist Asian context, as opposed to Western individualistic tendencies that emphasize self-identity. According to affective events theory, individuals’ work attitudes and behavior are affected by work events or experiences, as well as by person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job stress was identified as a mediator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silence.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silenc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240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and occupations. Online surveys were administered to measure abusive supervision, face consciousness, job stress, and employee silence. SPSS 26 and AMOS 24 were used as statistical tools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such as gender, age, tenure, employment type, nationality and resilience, were controlled for in all analyse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job stress.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job stress. Specifically, employees with low face consciousness experience more job stress when exposed to abusive supervision. In addition,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As predicted, job stres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A supplementary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ace consciousness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such that employees with low face consciousness exhibited increased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when exposed to abusive supervision. This study is of theoretical importance in that it uncovers the role of face consciousness as a moderator between abusive supervision, job stress, and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The present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viding managers with ideas to reduce abusive supervision and helping them devise interventions to decrease employee stress and silence according to their face consciousnes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2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4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