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 0

The Art Museum as Architecture of the Artistic-Sacr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Iconoclastic Shif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itle
The Art Museum as Architecture of the Artistic-Sacr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Iconoclastic Shif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ther Titles
19세기 예술적 성스러움의 건축으로서 미술관과 20세기 초의 성상파괴적 변화
Author
이단비
Alternative Author(s)
Dan Bee LEE
Advisor(s)
남성택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sacred in the context of art and art museums, this thesis presents an analysis of how the sacred, as a traditionally religious notion, has been expanded into non-religious realms, specifically art museums. By focusing on the spatial boundaries that occur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elements,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sacred is manifested in these spa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a series of case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art museums as spaces that not only exhibit artworks, but also embody and facilitate the experience of the artistic-sacred. The research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etymological and dictionary meanings of the terms sacred and profane. It traces their origins in religious contexts and examines how their meanings are also addressed in broader cultural and social spheres. By analyzing how the sacred is interpreted in non-religious settings, it highlights the universal nature of the sacred in both religious and non-religious contexts. With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architectural interpretation of the sacred in art museums: how art museums are constructed and experienced not simply as places to exhibit art, but as structures that house and display artworks that are objects of the artistic-sacred. Through an analysis of architectural elements and transitional spatial arrangements, this research examines how art museums create transitional spatial effects toward the sacred through architectural devices that not only separate the sacred from the profane, but also connect them in a controlled manner. At the center of this research are case studies of a late eighteenth-century Musée des Monuments Français and an early nineteenth-century Altes Museum in Berlin. These case studies aim to explore how art museums have historically delineat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sacred and the profane. The research also addresses the methodolog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its findings, contributing to the discourse of architectural theory and art museum studies by reassessing perceptions of art museums and their design. From their origins in the nineteenth century as architecture of the artistic-sacred, art museums in the twentieth century have been subject to significant shifts in the way art and art museums are perceived and designed, and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artistic-sacred may seem to have lost its effectiveness. However, by highlighting the ways in which art and art museums are referenced as subjects of the sacred, this research argues that art museums can be seen as spaces in which the artistic-sacred is redefined and experienced, even as the ways in which it is expressed have changed. Ultimately, this research sheds light on the continued relevance and indispensability of the sacred in the context of art and art museums. It posits that art museums function as contemporary sites of the artistic-sacred, facilitating the sacralization of art exhibition spaces. This expanded understanding of the sacred in art museums offers a perspective on how art museums can be perceived and experienced as sacred spaces with artistic significance.|본 연구는 예술과 미술관의 맥락에서 성스러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스러움의 개념적 및 건축적 범위가 종교적 기원에서 비종교적인 영역, 특히 미술관의 영역으로 확장된 점을 논의한다. 건축적 요소의 해석을 통해 성스러움과 세속스러움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적 경계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공간에서 성스러움의 발현 방식을 살펴본다. 질적 연구와 사례 연구를 통해, 예술을 전시할 뿐만 아니라 예술적 성스러움의 경험을 구현하고 촉진하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성스러움과 세속스러움의 어원적 및 사전적 의미를 분석한다. 종교적 맥락에서 그 기원을 추적하고, 더 넓은 문화적, 사회적 영역에서 그 의미가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본다. 그중에서도 기념, 정치적 권력, 문화와 같은 영역에서의 적용을 살펴본다. 즉, 성스러움이 비종교적 환경에서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성스러움이 종교적 맥락뿐 아니라 비종교적 맥락에서도 보편적으로 다루어지는 특성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미술관에서 성스러움에 대한 건축적 해석에 초점을 맞춘다. 즉, 미술관이 단순히 예술을 위한 장소가 아니라, 예술적 성스러움의 대상인 예술품을 소장하고 대중에게 드러내어 전시하는 건축으로서 어떻게 구축되고 경험되는지를 살펴본다. 건축적 요소와 전이 공간 배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서, 미술관이 건축적 장치를 통해 성스러움을 향한 전이 공간 효과를 조성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성스러움과 세속스러움을 분리시킬 뿐 아니라 통제된 방식으로 연결하는 특성을 조명한다. 본 연구의 중심에는 18세기 말 프랑스 기념비 박물관과 19세기 초 베를린의 알테스 뮤지엄에 대한 사례 연구가 있다. 이러한 사례 연구는 미술관이 역사적으로 성스러움과 세속스러움 사이의 경계를 어떻게 규명해왔는지 살펴보도록 도모한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결과의 방법론적 및 이론적 함의를 다루고 있다. 즉, 미술관과 그 설계 방식에 대한 인식을 재평가함으로써 건축 이론과 미술관 연구 담론에 기여한다. 19세기 예술적 성스러움의 건축으로서 등장한 미술관은 20세기에 이르러 예술과 미술관에 대한 인식과 설계 방식에 전면적인 변화를 겪으면서, 이에 따라 본래의 예술적 성스러움은 그 효력을 상실한 듯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예술과 미술관을 성스러움으로 관철시키기도 하는 관점의 발견은 미술관을 예술적 성스러움이 재정의되고, 그 발현의 방식에 변화가 발생하여 또 다른 예술적 성스러움으로 경험되는 공간으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예술과 미술관의 맥락에서 성스러움의 지속적인 관련성을 조명한다. 미술관에서 성스러움에 대한 이와 같은 확장된 이해는 미술관이 예술적 의미를 지닌 성스러움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경험될 수 있는지에 대해 조명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6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3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