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 0

엑소더스에서 드러난 베를린 장벽과 맨해튼 격자에 대한 연구

Title
엑소더스에서 드러난 베를린 장벽과 맨해튼 격자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Berlin Wall and Manhattan Grid Revealed in Exodus
Author
김준혁
Alternative Author(s)
Junhyuk Kim
Advisor(s)
남성택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oid and Cadavre Exquis through the Berlin Wall and the Manhattan Grid in Rem Koolhaas's Exodus. It also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Wall, Void, Grid, and Cadavre Exquis in Exodus have been reproduced in the subsequent design of La Villette Park. Under the influence of avant-garde mentor architects such as Superstudio and Archigram, Koolhaas frequently used collage. Collage was also an appropriate technique for his architectural practice, which focuses on the pre-existing, as evidenced in his study "The Berlin Wall as Architecture" and his book "Delirious New York." The elements chosen for the collage were intentional and served as key references. The collages in Exodus feature a number of elements with direct and indirect connections to Koolhaas, including the Berlin Wall and various grid systems, including the Superstudio's grid. At the time he was working on Exodus, Koolhaas was paying attention to Berlin and Manhattan, especially the Berlin Wall and the Manhattan Grid. The Wall in Exodus was analyzed to refer to the Berlin Wall through photographs of the Wall, mentions of the Wall by Koolhaas, and his prior research. The Grid in Exodus is also rooted in the Manhattan Grid through the timeline of Exodus and Manhattan studies, his subsequent work, and the Empire State Building in Exodus. Koolhaas focused on the disjunctive nature of the Berlin Wall, which cuts off the surroundings, and the divisive character of the Manhattan Grid, which divides the land. He noted that the wall hollowed out the periphery and created a void, a space where anything is possible, and in the Manhattan Grid he discovered the concept of Cadavre Exquis, where the independent ideologies and programs of Manhattan and its skyscrapers coexist. Void and Cadavre Exquis would become central theories and concepts of Koolhas architecture in earnest after Exodus, but they were already being realized in Exodus. Voids were being created in spaces separated by Walls, and Cadavre Exquis, the juxtaposition of independent programs within each grid-divided space, was being discovered. For Koolhaas, the Wall was not a material object, but an immaterial effect, with an indeterminate appearance. Whatever it looked like, it could be a Wall if it possessed the quality of disconnection. The Berlin Wall was a conceptual Wall. The Grid also had an indeterminate appearance: any element that po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a subdivision other than the appearance of a Grid was recognized as a Grid. In the same way, the plan for La Villette Park includes a Wall and a Grid. The boundaries of each strip isolate the strip from its surroundings so that it remains a voids that can accommodate different programs. They were conceptual Walls. In addition, the Grid, which divides the site into regular segments, allows the disparate programs owned by each strip to coexist. In the design for La Villette Park, the exodus is deepened and recreated. In this way, Exodus can be used to trace the development of Koolhaas's discoveries into his unique architecture and theory. The Berlin Wall, the Manhattan Grid, and Void and Cadavre Exquis were all tested in Exodus as a laboratory before they were fully incorporated into his own architecture. By first implementing his intuitive discoveries at Exodus, Koolhaas was able to own the developed architectural thoughts that followed. In other words, rather than being a student graduation project of Rem Koolhaas, Exodus should be seen as a small but significant first step in his architecture practice.|본 연구는 렘 콜하스의 엑소더스에서 드러나는 베를린 장벽과 맨해튼 격자를 통해 보이드와 카다브르 엑스키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엑소더스의 장벽과 보이드, 격자와 카다브르 엑스키가 이후 라 빌레트 공원 설계안에서 재현되어 있는 모습을 분석함에 있다. 콜하스는 슈퍼스튜디오, 아키그램과 같은 아방가르드 스승 건축가들의 영향 아래 콜라주를 자주 사용했다. 콜라주는 콜하스의 “건축으로서의 베를린 장벽” 연구, 저서 “광기의 뉴욕”에서 드러나듯이 원래 존재하던 것들에 주목하는 그의 건축적 사고에 적합한 기법이기도 했다. 콜라주 속에 선택된 요소들은 의도적이었으며 주요 참조 대상으로 역할했다. 엑소더스의 콜라주에는 콜하스와 직, 간접적인 연관관계를 가진 요소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었으며, 그중 베를린 장벽과 슈퍼스튜디오의 격자를 비롯한 다양한 격자 체계가 빈번히 삽입되어 있었다. 엑소더스를 작업할 당시 콜하스는 베를린과 맨해튼에 주목하고 있었고, 특히 베를린 장벽과 맨해튼 격자를 유의미하게 다루고 있었다. 엑소더스의 장벽은 베를린 장벽의 사진, 콜하스의 언급, 그의 선행적 연구 등을 통해 베를린 장벽을 의미하고 있음을 분석했다. 또한 엑소더스의 격자는 엑소더스와 맨해튼 연구의 시기적 연관관계, 그의 후속 작품, 엑소더스 속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등을 통해 맨해튼 격자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판단했다. 콜하스는 베를린 장벽에서 주변을 끊어내는 단절적 특성, 맨해튼 격자에서 대지를 나누는 분할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단절적 장벽은 주변을 비워내고 모든 것이 가능한 공간인 보이드를 생성함에 주목했고, 맨해튼 격자는 맨해튼과 마천루의 독립적인 이데올로기들과 프로그램들을 공존시키는 카다브르 엑스키를 허용하는 것을 발견했다. 보이드와 카다브르 엑스키는 엑소더스 이후 본격화 되어 콜하스 건축의 핵심적인 이론과 개념으로 자리 잡았지만 이미 엑소더스 속에 실현되고 있었다. 장벽으로 단절된 공간은 보이드의 모습을, 격자로 분할된 각각의 공간은 독립적인 프로그램들을 병치시키는 카다브르 엑스키의 모습이 있었다. 콜하스에게 장벽은 물질적 오브제가 아닌 비물질적 효과였으며 비확정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그 모습이 어떠하든지 단절의 특성을 소유한다면 장벽이 될 수 있었다. 베를린 장벽은 개념적 장벽이었다. 격자 또한 확정적인 모습이 아니었다. 격자의 모습이 아닌 다른 어떠한 분할의 특성을 가진 요소도 격자로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라 빌레트 공원 계획안에서도 장벽과 격자가 등장한다. 각각의 스트립 경계선은 스트립을 주변과 단절시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수용하는 보이드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대지를 일정하게 분할하는 격자를 통해 각각의 스트립이 소유한 이질적인 프로그램들을 공존시키고 있었다. 라 빌레트 공원 설계안에서는 엑소더스가 심화되어 재현되고 있었다. 이렇듯, 엑소더스를 통해 콜하스의 발견이 본인의 독창적인 건축과 이론으로 발전되는 과정을 유추할 수 있다. 베를린 장벽과 맨해튼 격자, 보이드와 카다브르 엑스키를 본인의 건축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이전, 하나의 실험실로서 엑소더스를 거쳤다. 콜하스는 직관적으로 발견한 개념들을 엑소더스에서 선행적으로 구현해 봄으로써 이후 발전된 건축적 사고를 소유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엑소더스는 렘 콜하스의 학생 졸업 작품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콜하스의 건축 인생의 작지만 큰 첫걸음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64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3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