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 0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관광 경험 가치가 재방문 의도, 장기체류 의도와 이주 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관광 경험 가치가 재방문 의도, 장기체류 의도와 이주 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Value of Tourism Experience of Smartwork Users on Their Intention to Revisit, Long-term Stay, and Migrate: Focusing on Local Image and Place Attachment
Author
진매희
Alternative Author(s)
진매희
Advisor(s)
신학승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배경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업무수행 방식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기존의 사무실 근무, 대면 회의, 수기 작업이 원격근무, 유연근무, 화상회의, 디지털 작업으로 대체되어 스마트워크 환경이 조성될 수 있었다. 스마트워크(smartwork)는 “재택근무, 이동근무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근무 형태”(한국정보화진흥원, 2020)로 이러한 근무 형태가 기업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것은 사용자 입장에서 노동자 개인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었고, 해외 인재를 적극 활용할 수 있었으며, 복지 차원에서도 직원의 일생활 양립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여가 시간의 확보 및 장소의 이동은 관광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재택근무, 유연근무제, 디지털 노마드 등 스마트워크의 대표적인 주제는 조직성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등 업무효율성 측면에서는 많이 다뤄졌으나, 관광학적 측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관광 경험적 가치를 분석하고, 지역이미지 및 장소애착과의 관계성, 나아가 재방문 의도, 장기체류 의도 및 이주 의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3년 9월 14일부터 10월 29일까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 3개월 이내 스마트워크를 통해 거주지 외 지역에서 업무를 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의 관광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9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9.0과 AMOS 26.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 이용자의 관광 경험적 가치는 지역이미지(H1) 및 장소애착(H2)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이미지(H4) 및 장소애착(H5)는 각각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록 재방문 의도가 직접적으로 이주 의도(H7)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재방문 의도는 장기체류 의도(H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장기체류 의도는 이주 의도(H8)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에 따라 스마트워크가 보편화되었음에도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이 통일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의 개념 정리가 향후 스마트워크에 대한 연구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다. 둘째, 스마트워크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업무효율성, 일ㆍ가정 양립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스마트워크로 업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완화되면 관광의 기회가 확대되고, 관광 경험을 통해 지역이미지 및 장소애착 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는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출 수 있다. 셋째, 스마트워크로 기존 거주지 외 지역에 머무르며 체류형 관광이 실현되는 경우, 관광을 위한 이동 비용이 줄어들고, 관광자가 주중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장기적으로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의 대안이 되고, 지속가능한 관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넷째, 스마트워크를 활용하여 도심에 거주할 필요성이 줄어들면 지역관광 활성화는 물론 관계인구 형성 측면에서 따른 지역소멸의 해결책이 될 수도 있다. 다섯째, 관광학 측면의 긍정적 효과를 거주까지 확장하여 바라보았다. 관광자가 해당 지역을 재방문하는 관계인구에서 나아가 해당 지역으로의 이주 의도까지 검증하여, 지역인구로 편입될 가능성까지 긍정적으로 전망하였다. 주제어: 스마트워크, 워케이션, 디지털노마드, 재방문 의도, 장기체류 의도, 이주 의도, 지역소멸, 관계인구| This research stems from the evolving work methodologie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The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replaced traditional office work, face-to-face meetings, and manual tasks with remote work, flexible schedules, virtual meetings, and digital tasks, creating a conducive environment for Smartwork. Smartwork, characterized by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work without being bound by time and location, has become ingrained in corporat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es, it enhances individual work efficiency, facilitates the active utilization of international talents, and supports work-life balance from a welfare standpoint. The availability of leisure time and the flexibility of location are essential conditions that can trigger tourism behaviors. However, while Smartwork's impa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ere is a dearth of research on its tourism-related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ourism experiential value of Smartwork users,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regional image and place attachment,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s, long-term stay intentions, and migration intentions. To conduct this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from September 14 to October 29, 2023. The survey targeted individuals who had worked remotely in locations other than their residence using Smartwork within the past three months and had experienced tourism in those areas. A total of 29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AMOS 26.0 for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esting causal relationship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ourism experiential value of Smartwork users significantly influences regional image (H1) and place attachment (H2). Regional image (H4) and place attachment (H5) significantly impact revisit intentions. Although revisit intentions did not directly influence migration intentions (H7), they significantly affected long-term stay intentions (H6), which, in tur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igration intentions (H8). Implications of the study include: Despite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work, there is a lack of unified concepts. This study's conceptual clarification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Smartwork. Previous research on Smartwork has primarily focused on work efficiency and work-family bala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for Smartwork to expand tourism opportunities, enhance regional image through tourism experiences, and strengthen place attachment. Smartwork contributing to a shift from sojourn-based to residence-based tourism may reduce travel and disperse tourists during weekdays, potentially contributing to sustainable tourism. Utilizing Smartwork to reduce the necessity of residing in urban centers could not only boost regional tourism but also provide a solution to regional depopulation resulting from interpersonal connections. The positive effects of tourism from a hospitality perspective are extended to residence, going beyond revisitation to exploring intentions of relocation, suggesting a positive outlook for integration into the local population. Keywords: Smartwork, Workcation, Digital Nomad, Revisit Intentions, Long-term Stay Intentions, Migrate Intentions, Regional Depopulation, Relation Popul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36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TOURISM[S](국제관광대학원) > INTERNATIONAL TOURISM(국제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